전북특별자치도가 2026년 국가예산 확보를 위한 마지막 관문인 국회 심의를 앞두고 ‘총력전’에 돌입했다.
전북도는 16일 도청에서 김관영 지사 주재로 ‘2026년 국가예산 국회단계 점검회의’를 열고, 정부 예산안에서 과소·미반영된 핵심사업의 반영 전략을 집중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는 행정·경제부지사와 정무수석, 실·국장 등이 참석해 도정 핵심사업의 반영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구체화했다.
특히 정부안 단계에서 과소·미반영된 70개 중점사업에 대한 국회단계 증액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상임위 및 예결위 심의에 맞춘 맞춤형 대응책을 마련했다.
전북도는 실무 중심의 예산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서면질의서 작성 △감액 방어자료 마련 △상임위 대응 TF 운영 등 세부 대응 절차를 가동하기로 했다.
또한 도와 시·군 공무원으로 구성된 국회 상주반을 운영해 상임위별 심사 동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유지한다.
정치권 공조 체계도 본격 가동된다. 전북도는 지역 및 연고 국회의원과의 예산정책협의회를 오는 30일 개최해 주요 현안사업에 대한 지원을 요청할 예정이다.
아울러 기획재정부 장·차관 및 예산실장, 예산심의관 등 핵심 인사와의 간담회를 순차적으로 추진하고, 예결위 위원장·간사·소위위원, 국회의장·원내대표 등과 면담을 이어가며 증액 필요성을 집중 설득할 계획이다.
김관영 지사는 “국회 단계는 국가예산 확보의 마지막 관문인 만큼, 도정 핵심사업이 반드시 반영될 수 있도록 모든 행정역량을 집중하겠다”며 “도와 시군, 정치권이 하나로 움직여야 예산 심의의 벽을 넘을 수 있다. 남은 기간 전 조직이 비상체제로 임해 최선의 결과를 만들어내자”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