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에서 최근 검사를 사칭한 보이스피싱 조직이 잇따라 시민들을 노렸으나 경찰의 발 빠른 대응으로 5억 원대 피해가 사전에 차단됐다.
울산북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달 지역에서만 3건의 대규모 보이스피싱 시도가 발생했다. 조직은 수사기관을 사칭하며 피해자들에게 고립을 강요하거나 고액 현금을 금괴로 바꾸도록 지시하는 등 한층 교묘한 수법을 사용했다.

지난달 9일 30대 남성 A 씨는 "당신 계좌가 범죄에 연루됐다"는 전화를 받고 공포심에 휘둘려 스스로 시내 호텔에 투숙했다. 그는 조직이 지시한 대로 30분마다 일거수일투족을 보고하며 현금 7900만 원을 이체하려 했지만 경찰이 추적 끝에 호텔을 찾아내 설득하면서 범행이 드러났다.
열흘 뒤인 19일 60대 여성 B 씨는 "자산을 골드바로 전환해 맡기라"는 전화 지시에 속아 1억9000만원 상당의 금괴 10개를 구매했다. 그러나 경찰이 자택 인근에서 그를 발견해 아직 전달되지 않은 사실을 확인, 피해를 막았다.
이어 22일에는 60대 남성 C 씨가 2억8000만 원으로 금괴를 구매하려 했으나 경찰이 사전에 금거래소와 공조해 거래 직전 차단할 수 있었다.

경찰은 "최근 조직이 호텔 감금, 금괴 구매 등 신종 수법으로 피해자를 장악하려 하고 있다"며 "의심스러운 전화나 비정상적인 금융 요구를 받으면 반드시 112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시민단체와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보이스피싱 전담 수사 인력 확충과 금거래소 등 대규모 현금·금괴 거래 시 사전 신고제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고액 현금이 금괴로 전환될 경우 범죄 추적이 어려워진다"며 금융·유통 경로 전반의 제도적 보완을 촉구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