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1월부터 '경남도민연금'을 본격 시행하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1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피력했다.
박 부지사는 "민선 8기 경남도정은 강도 높은 산업 경제 부양 정책과 더불어 경남 도민의 일상에 직접 닿는 체감도 높은 복지정책들을 어느 지자체 보다 적극적이고 과감하게 추진해 왔다"고 밝혔다.
박 부지사는 또 "일반적인 퇴직 시점부터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수급 개시 전까지의 소득 공백기에 우리 도민들께서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경남도가 지원하는 목적을 지닌다"고 덧붙였다.
박 부지사는 "국가 산업 경제의 핵심지 경남도에서 일평생 일하고 살면서 국가와 지역 발전에 기여하시는 도민에 대한 최소한의 예우를 담은 정책이다"며 "노동집약 중심의 우리 지역 산업 경제구조 하에서 적극적이고 과감한 복지정책 시행을 통해 한 분의 노동자라도 경남으로 유입시키고 인구의 이탈을 방지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가입 대상·지원금 규모·운영 방식 등 세부 기준을 촘촘히 설계하는 데에 총력을 기울였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박 부지사는 "가입 대상은 가입자 본인의 연간 소득액이 4인가구 기준중위소득 120%에 해당하는 약 9352만 원 이하의 40세 이상 55세 미만의 경남도민이다"고 밝혔다.
박 부지사는 "대상 인원은 매년 1만 명씩 신규 가입하도록 해 10년 차부터는 누적 가입자 10만 명을 유지할 계획이다"면서 "대상 인원 등 사업 규모는 향후 사업 추진 상황과 효과에 따라 확대 등 조정의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지원금은 연간 개인이 납입한 총액을 기준으로 8만 원당 2만 원을, 연 최대 24만 원 한도로 최대 10년간, 최대 240만 원을 지원한다"고 하는 박 부지사는 "연금수령은 55세 이상이 되고 최초 납입 일로부터 5년이 경과한 시점부터 가능하다"고 밝혔다.
박 부지사는 "소득 공백기에 대한 준비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저소득층이 우선적으로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며 "가입자 모집 방식을 소득 구간별로 단계적으로 기간을 정하여 모집하고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등 수입이 일정하지 않은 도민을 위해 매월 같은 금액을 납부하지 않더라도 연간 납입액에 따라 지원금을 지급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박 부지사는 "경남도가 추진하는 도민연금만으로 소득 공백기를 대비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며 "도민 여러분이 맞게 될 소득 공백기 등 은퇴 이후의 삶을 스스로 준비하는 데에 있어서 도민연금이 보탬이 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고 전국 최초로 지자체 차원의 연금제도를 도입하게 됐다"고 밝혔다.
박명균 부지사는 "도민연금이 새로운 취약계층 발생 방지를 위한 사회적 안전장치로서 경남도가 후반기 도정 운영핵심 가치로 설정한 복지·동행·희망의 실현에한 걸음 다가갈 수 있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