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억원대의 전북자치도 인력양성사업이 '특정기관과 일부 인력을 위한 사유화된 특혜사업이냐'는 호된 비판이 전북자치도의회에서 강하게 제기됐다.
김대중 전북도의원(경제산업건설위)은 17일 열린 '제421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에서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전북 청년 실업률은 9%에 달해 전국 평균 6.7%를 훌쩍 뛰어넘었다"며 "전북 청년들이 절망적인 현실에 놓여있는 동안 전북도는 무엇을 했느냐"고 질타했다.
김대중 도의원은 "민선 8기 들어 미래첨단산업국이 추진한 인력양성사업만 41개에 2022년부터 2025년까지 교육받은 인원은 2만9198명에 달한다"며 "이 중에서 취업자는 고작 1431명에 4.9%에 불과하다. 인력양성사업에 무려 542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었지만 결과는 초라하기 짝이 없다"고 비판했다.

김대중 의원에 따르면 2024년에 추진된 '이차전지 실시간 고도분석 인력양성사업'은 단순한 장비교육을 듣는 사업임에도 대학생 10명에게 무려 3472만원을 인건비로 지급했다.
또 교육대상자를 기관, 기업, 학생으로 선정하면서도 모집공고조차 없이 기관이 임의적으로 추진했다.
2024년 바이오 지역산업 역량강화 지원사업은 더욱 심각하다. 독일 KIST 유럽연구소에 파견된 한 명의 박사 인력은 선발 과정 없이 1년 동안 인건비로 매달 825만 원씩, 총 9900만 원을 받았으며 인턴 과정의 인력 4명은 사업계획서와 맞지도 않는 전문가 활용비 항목으로 인건비와 체류비를 충당했다.
김대중 도의원은 "이를 인건비로 전용한 것은 명백한 예산 목적 외 사용이며 예산집행의 기본 원칙을 위반한 부당집행"이라며 "이것이 과연 도민을 위한 인력양성인가? 아니면 특정기관과 일부 인력을 위한 사유화된 특혜사업인가?"라고 거칠게 되물었다.
김대중 도의원은 또 "전북도는 단순히 사업을 위탁만 해놓고 방관하고 있었으며 세부 집행내역은 들여다보지도 못한 채 단순히 금액만 맞으면 되는 회계감사에 의존하는 무책임한 행정이 반복되고 있다"며 "도민의 피 같은 세금이 특정기관의 특혜와 편법으로 흘러가는 현실을 이제는 끝내야 한다"고 강하게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