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경북도지사 선거를 앞두고 대구·경북(TK) 정치권이 사상 초유의 혼란에 휘말리고 있다. 일부 유력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현역 중진 의원들이 ‘패스트트랙 사건’과 ‘특별검사 수사’라는 이중고에 직면하면서, 선거 구도가 안갯속으로 빠져드는 모양새다.
특히 경북지역 3선 이상 중진 의원 다수가 ‘국회선진화법 위반’ 사건으로 6년 만에 구형을 받으면서 정치적 입지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15일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11부(장찬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결심 공판에서 검찰은 국민의힘 원내대표인 송언석(김천) 의원에게는 징역 10개월과 벌금 200만원, 이만희(영천·청도)·김정재(포항 북구) 의원에게는 징역 10개월과 벌금 300만원을 내려달라고 요청했다.
선출직 공무원은 형사 사건에서 금고 이상 형이 확정되면 직이 박탈된다. 이에 더해 국회의원은 국회법 위반으로 벌금 500만원 이상이 확정되면 의원직을 잃는다.이들이 최종적으로 실형이 선고되어 의원직을 잃고 향후 10년간 피선거권까지 박탈될 경우, 경북 정치 전반에 심각한 리더십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운명의 날’은 다가오는 11월20일이다.
지역 정치권은 이들이 오랜 기간 지역 기반을 공고히 다져온 만큼, 정치적 좌초는 곧 보수 정치의 구심점을 흔드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대여 투쟁의 선봉에 섰던 인물들이 줄줄이 사법 리스크에 휘말리면서 차기 선거 판세에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상황이다.
여기에 권성동 의원 구속으로 촉발된 특별검사 수사가 경북 정치권으로 확산될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혼돈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지역 정가에서는 “특검발(發) 정치권 쓰나미가 내년 지방선거 전반을 뒤흔들 수 있다”는 우려가 공공연히 나오고 있다.
이처럼 TK 핵심 정치인들이 잇따라 법적 위기에 몰리자, 차기 도지사 선거의 후보군 재편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들은 “유력 주자들이 잇따라 낙마할 경우, 신진 인물이나 현직 기초단체장, 행정 관료 출신들이 대안으로 부상할 수 있다”며 “선거의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유권자들의 혼란도 증폭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결국 내년 경북도지사 선거는 사법 리스크와 정치적 공백, 그리고 새로운 대안 세력의 부상이라는 삼각 파고 속에서 치러질 전망이다. 지역 정치 지형의 대전환이 예고된 셈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