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아동 대상 범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경찰, 교육청 등과 협력 체계를 강화한다. 아동안전지킴이 확대, 시니어 순찰대 도입, CCTV 연계 감시망 구축이 주요 내용이다.

최근 전국적으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유괴·유인 범죄가 잇따르자, 대구시는 이를 예방하기 위한 다기관 합동 대응에 나섰다.
대구시 자치경찰위원회는 16일 대구경찰청, 시교육청 등과 함께 회의를 열고, 아동 보호를 위한 사회안전망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주요 대책으로는 경찰 인력을 총동원해 초등학생 등하굣길에 맞춰 학교 주변을 집중 순찰하는 방안이 우선 추진된다. 이와 함께 아동안전지킴이, 녹색어머니회, 자율방범대 등 민간 협력 단체와의 합동 순찰도 강화된다.
현재 대구지역 170개 초등학교에 340명의 아동안전지킴이가 활동 중이며, 올해 안으로 10명을 추가 배치하고, 내년까지 138명을 더 늘려 모든 초등학교(239개교)에 배치할 계획이다.
또한,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 미취학 아동 보호를 위해 ‘시니어-아너 폴리스’라는 어르신 순찰 인력을 150명 선발해 배치하는 사업도 새롭게 추진된다.
이들 사업에는 총 45억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며, 항목별로는 아동안전지킴이 사업 28억 원, 시니어-아너 폴리스 13억 원, 범죄 예방 환경 개선(셉테드) 사업 4억 원이 책정됐다.
이외에도 구·군 CCTV 관제센터와 연계해 학교 인근 취약 지역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범죄가 의심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지역 경찰이 즉시 출동하는 ‘화상순찰 시스템’을 가동할 방침이다.
이중구 대구시 자치경찰위원장은 “아동 범죄는 사전 예방이 가장 중요한 만큼, 지역 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해 아이들이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교육청은 유괴·실종 예방을 위해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예방 교육과 가정통신문을 통해 안전 수칙을 안내하고, ‘아동안전지킴이집’과 ‘사전등록제도’ 등 안전망 활용을 독려할 계획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