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4명 중 1명 가량은 직장 내 성범죄 피해를 신고하면 정상적인 직장 생활이 어려워질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동운동단체 '직장갑질119'가 지난 1~7일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수행해 7일 발표한 설문 결과를 보면, 응답자 23.1%가 '직장 내 성범죄 신고 후 정상적 생활이 어려울 것 같나'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그렇다'는 답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여성(30.9%)과 비상용직(28.3%)에서 높았고, 남성(16.1%), 상용직(19.7%)에서 낮았다.
구체적인 우려 사항에 대한 설문의 긍정 답변 비율은 △신고자 신원이 노출될 것 같다 25.9% △가해자에게 합당한 처벌이 이뤄지지 않을 것 같다 23.1% △가해자로부터 보복을 당할 것 같다 20.7% △불이익을 당할 것 같다 19.3% △피해자 보호조치가 잘 되지 않을 것 같다 18.4% 등이었다.
이밖에 응답자 19.1%는 '직장에서 성범죄 예방 활동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12.8%는 '직장 내 성범죄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직장갑질119는 "적지 않은 직장인이 직장 내 성범죄를 만성적 위험으로 여기고 있다"며 "더 큰 문제는 신고 제도의 무력화다. 신원 노출에 대한 불안, 불이익과 보복에 대한 두려움이 팽배한 이유는 실제 많은 사건에서 피해자가 오히려 불이익을 겪고 위험에 노출되는 상황을 다수 직장인이 목격해 왔기 때문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직장 내 성범죄는 한 개인의 일탈이나 우연한 사건이 아닌 후진적 조직문화 속에서 반복적으로 재생산되는 구조적 폭력"이라며 "사용자에게 보다 실효적이고 구체적인 예방 의무를 부과하고, 이 기준에 따라 성범죄 예방 및 피해자 보호 조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경우 법적, 제도적 의무 위반으로 엄중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직장갑질119는 또 "최근 조국혁신당 성폭력·괴롭힘 사건에서도 피해자는 2차 피해와 당의 방치 속에 끝내 조직을 떠나야 했다"며 "조국혁신당은 철저한 진상조사를 통해 피해자가 어떤 과정을 통해 고립되고 2차 피해에 노출됐으며, 끝내 조직을 떠나야 했는지 세밀히 규명하고 피해자 보호와 사건 처리에 관한 명확한 프로세스를 정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