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교육감 선거 출마예정자인 김용태 전 노무현재단 광주지역위원회 시민학교장의 '노무현 직함' 사용 문제를 놓고 타 후보들이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이정선 현 교육감까지 '여론조사 거부'에 참전하면서 확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경쟁 후보들에 이어 현직 교육감까지 "교육의 정치화"라며 '여론조사 보이콧'을 선언하자, 당사자인 김용태 전 노무현재단 광주시민학교장은 "선관위 검증을 마친 합법적 경력"이라며 정면 반박하고 나서면서 갈등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갈등은 김용태 전 교장의 지지율 널뛰기 현상에서 시작됐다.
지난 6월부터 최근까지 5차례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그의 지지율은 '노무현시민학교장' 직함을 썼을 때는 1~2위까지 치솟았지만, 해당 이력이 빠졌을 때는 4위까지 급락했다.
이에 정성홍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과 오경미 전 광주교육청 교육국장은 지난 4일 성명서를 통해 "전직 대통령 이름 하나로 여론이 요동치는 것은 선거의 공정성을 훼손하는 것"이라며 해당 직함 사용 중단 요청과 함께 여론조사 거부를 선언했다.
여기에 이정선 광주교육감까지 가세했다.
이 교육감은 지난 5일 입장문을 내고 "특정 후보가 '노무현재단 광주시민학교장' 명칭을 사용하는 것은 교육을 정치화하고 조사 결과를 왜곡하는 심각한 문제"라며 "교육의 정치화를 단호히 거부하며 불공정한 여론조사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세 명의 유력 후보가 한목소리로 '여론조사 보이콧'을 선언하며 김용태 후보를 압박하는 형국이다.

이에 대해 김용태 전 노무현 시민학교장은 7일 입장문을 통해 "억지스러운 주장"이라며 조목조목 반박했다.
김 전 교장은 "'노무현재단 광주시민학교장'은 제가 수년간 맡아온 공식 직함이자 공적 이력"이라며 "임의로 만든 명칭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이미 선관위 공식 검증을 거친 유사 사례가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교장은 "최교진 현 교육부장관이 세종시교육감 시절 치른 4차례 선거에서 '노무현재단 대전·세종·충남 공동대표'라는 직함을 선거홍보물에 사용했고 이는 선관위의 엄격한 검수를 통과한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실제 세종시 교육감 여론조사에서도 해당 직함이 그대로 표기돼 반영된 바 있다"면서 "세종시에서는 되고 광주에서는 안된다는 주장이야말로 억지"라고 비판했다.
김 전 교장은 "현 교육감과 일부 후보들이 저의 경력을 문제 삼으며 여론조사를 보이콧하는 행위야말로 민주적 절차와 공정성을 훼손하는 것"이라며 "유권자는 후보자의 모든 경력을 정확히 알 권리가 있으며, 이를 제한하려는 시도는 교육자치 선거의 본질을 흐리는 일"이라고 맹비난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