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석유화학산업이 본격적인 구조조정 국면에 들어서면서 국가 최대 석유화학단지를 품고 있는 울산 노동현장에 긴장이 감돌고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중국의 저가 공세, 탈탄소 전환이라는 삼중고가 겹치면서 생산설비 감축과 함께 인력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1일 노동계에 따르면 울산의 석유화학단지는 협력업체와 하청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아 구조조정의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 대기업이 생산을 줄이거나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전환할 경우 가장 먼저 줄어드는 것은 하청 일감과 비정규직 인력이다.
정규직 고용은 단기적으로 유지될 수 있지만 수천 명의 협력업체 노동자들은 당장 일감이 끊길 위험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같은 충격은 기업 차원을 넘어 지역사회의 생존과 직결될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진다.
이런 불안들은 여수와 대산 등 다른 국가산단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여수국가산단은 기초유분 가격 하락으로 일부 설비를 이미 감산했고 대산단지 역시 해외 수요 부진으로 조정에 들어가면서 현장 노동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역경제가 석유화학산업에 높은 비중을 두고 있는 만큼 협력업체 폐업과 실업 확산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구조조정 과정에서 노동자 보호 장치와 지역 안전망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대규모 사회적 파장이 불가피하다고 경고하고 있다.
울산 지역 연구자들은 석유화학산업의 체질 개선 필요성에는 이견이 없지만 그 과정에서 노동자와 지역사회가 희생양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하고 있으며 정부 차원의 전환교육, 재취업 지원, 신산업 육성과 같은 사회적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에 노동계는 이미 공동 대응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울산과 여수, 대산의 노동조합들은 연대를 강화하며 구조조정 과정에서 고용안정과 지역경제 보호를 위한 사회적 협약 체결을 요구할 계획이다.
이러한 상황을 놓고 울산의 한 노조 간부는 숫자 맞추기식 구조조정보다는 산업전환 속에서도 노동자가 존중받는 길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며 정부와 기업이 대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