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파주시에서 조선 명관 ‘박태보 마애선정비’ 발견… 330여년 만의 귀환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파주시에서 조선 명관 ‘박태보 마애선정비’ 발견… 330여년 만의 귀환

“牧使朴公泰輔萬世不忘”… 파주목사의 선정(善政) 기려 각석한 마애비, 광탄천로 도로변 암벽에서 확인

▲ⓒ사진설명: 파주시 광탄천로 인근 도로변 암벽에서 발견된 박태보 마애선정비. ‘牧使朴公泰輔萬世不忘’으로 추정되는 명문이 암석위에 새겨져 있다.

경기도 파주시 광탄천로의 한 도로변 암벽에서 조선 숙종 대의 명관(名官)으로 꼽히는 파주목사 박태보(朴泰輔, 1654~1689)의 선정(善政)을 기린 ‘마애선정비(磨崖善政碑)’가 발견됐다. 마애비에는 “牧使朴公泰輔萬世不忘(목사 박공태보 만세불망)”이라고 추정되는 글귀가 새겨져 있어, 지역 주민들의 추앙과 존경이 얼마나 컸는지를 방증하고 있다.

이번 발견은 파주시 광탄천로 391 인근 도로 확장 공사 과정에서 토사에 묻혀 있던 암벽에서 시작됐다. 이 지역에서 400년 이상을 거주한 원주민 이경성 씨가 마애비의 존재를 파악하고, 김순현 북파주발전포럼 상임대표, 한기황 파주에서신문 발행인, 정헌식 파주문화원 부원장 등에게 제보하면서 본격적인 조사가 이뤄졌다.

지난 8월 17일, 현장에 도착한 조사단이 암벽의 토사를 제거하자 명문이 드러났고, 익일에는 차문성 파주문화원 부설 파주학연구소장과 문화원 국장도 현장을 확인했다.

“萬世不忘”… 조선 사림이 기억한 진정한 목민관

마애비에는 ‘牧使朴公泰輔□世□忘’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으며, 글자의 일부는 탈락되었으나 조사단은 이를 “牧使朴公泰輔萬世不忘(목사 박공 태보 만세 불망)”으로 판독했다. 이는 “목사 박태보를 만세토록 잊지 않겠다”는 의미로, 조선시대 백성들이 선정(善政)을 베푼 지방 수령에게 보내는 최고 수준의 경의다.

박태보는 조선 후기 대표적 실학자 박세당의 아들로 이천현감, 이조좌랑, 암행어사 등을 역임하며 공직에서 강직한 성품과 민생을 중시한 정치를 펼쳤다. 특히 1687년 파주목사로 부임하여 지역의 문제였던 환곡 갈등을 원만히 해결하는 등, 선정을 베풀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1689년 기사환국으로 인현왕후가 폐위되자, 이에 반대한 상소를 올렸다가 국문을 당하고 귀양길에 올라 노량진에서 옥사했다. 그는 당시 이세화, 오두인과 함께 절의를 지킨 충신으로 평가받으며 숙종 20년인 1694년에 신원되고 증직되었다.

마애선정비, 그 역사적 의미는?

파주에서 발견된 이번 마애선정비는 지역 유일의 마애 형식 불망비로, 역사적·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크다는 평가다. 일반적으로 선정비는 재임 중 혹은 바로 직후 세워지지만, 박태보는 정치적 이유로 바로 건립되지 못하고 6년 뒤인 1694년 갑술환국 이후에 신원·증직되면서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이번 발견은 <승정원일기>의 기록과도 맞물린다. 영조 7년(1731년) 당시 영조가 능행차 후 의주로 광탄 인근 소주정소에 들렀을 때 길가의 비석을 보고 “이는 누구의 비석인가”라고 묻자, 수행관이 “박태보의 거사비입니다”라고 답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이번에 발견된 마애비가 그 거사비일 가능성을 높여주며, 당시 소주정소의 위치가 지금의 광탄천로(부곡3리) 인근이라는 점도 뒷받침한다.

파주학연구소 차문성 소장은 “석각에는 일부 붉은색 주칠이 남아 있고, 각자 상태도 양호해 보존가치가 매우 높다”며 “이번 발견은 광탄 지역의 조선시대 행정 중심지로서의 중요성과 함께, 파주가 간직한 역사콘텐츠의 무궁한 가치를 다시금 일깨우는 계기”라고 평가했다.

보존과 활용 대책 시급

현재 마애비는 도로 인근 암벽 하단부에 위치해 있어 훼손 위험이 크다. 전문가들은 즉각적인 보호조치와 문화재 등록 추진, 향후 학술적 조사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번 마애선정비 발견은 파주가 간직한 정치사, 사림사, 문화사적 맥락을 연결하는 중요한 유물로, 향후 파주시 문화유산 정책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지은영

경기북부취재본부 지은영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