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고리원전 4호기가 6일 설계수명 만료로 가동을 중단하며 40년 만에 1~4호기가 모두 멈춰섰다.
6일 한국수력원자력 등에 따르면 고리 4호기는 이날 오후 2시 가동을 중단했다. 한수원은 전날 오전 4시부터 시간당 3%씩 4호기의 출력을 줄였으며 이날 오후 2시쯤 출력을 중단하고 전력 계통에서 분리했다.
발전용량 95만㎾의 고리 4호기는 1985년 11월 첫 발전을 시작했다. 현재도 전력 생산 기능에는 이상이 없지만 설계수명 40년이 만료되며 가동이 중지됐다. 이에 따라 고리원전 1~4호기는 40년만에 완전히 멈춰서게 됐다. 1호기는 2017년 6월 영구 정지해 해체작업을 앞두고 있다. 2호기는 2023년 4월, 3호기는 지난해 9월 각각 가동을 멈췄다.
해체를 앞둔 1호기를 제외한 2~4호기는 설계수명이 끝나도 가동을 연장하는 '계속 운전' 심사 절차가 진행 중이다. 한수원이 신청한 계속 운전을 위한 운영 변경 허가를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승인한다면 2~4호기는 발전을 재개할 수 있다.

앞서 윤석열 정부는 문재인 정부 때 추진된 탈원전 정책을 전면 폐기하면서 노후 원전의 수명 연장을 추진했다. 정부가 계획한 노후 원전의 계속운전 기간은 10년으로 고리원전 2~4호기가 재가동되면 그 시점부터 10년간 더 운전이 가능하다.
가장 먼저 가동을 중단한 고리 2호기의 계속 운전 승인 여부는 올 하반기에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3호기와 4호기는 내년 중에 승인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지역 환경단체들은 고리 2~4호기도 1호기처럼 해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탈핵부산시민연대 등 부산과 울산, 경남지역 환경단체는 이날 오전 한수원 고리원자력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후원전에 대한 수명 연장 시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