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소에서 또다시 하청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29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전날 오후 2시30분쯤 강원도 동해시 구호동 한국동서발전 동해화력발전소에서 근무 중이던 30대 노동자 A 씨가 비계 해체 작업 중 약 8미터(m) 아래로 추락했다. A 씨는 추락 직후 심정지 상태로 119구급대에 의해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끝내 숨졌다.
태안화력 고(故)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원회에 따르면, 해당 노동자는 하청업체 소속 단기 근로자였으며, 사고 당시 발판 사이의 빈틈으로 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경찰은 발전소 관계자 등을 상대로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
사고 발생 후 대책위는 입장문을 내고 "지난 6월 2일, 태안화력에서 고 김충현 노동자가 사망한 지 두 달도 채 지나지 않아, 이번에는 동서발전 동해화력에서 같은 비극이 되풀이됐다"며 "죽음의 발전소, 정부가 제2의 김충현을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대책위는 "이번 죽음은 우연도, 예외도 아니"라며 "고 김충현 노동자 사망 이후, 대책위는 정부에 발전소의 하청구조, 위험의 외주화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자고 말했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이 한 번, 김민석 국무총리가 두 번 '논의하겠다, 협의체를 구성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어떤 변화도 없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더 이상 정부는 방관자가 아니다. 이 반복된 죽음의 공범이자, 오늘 사고의 책임자다. 정부가 결국 제2의 김충현을 만들었다"면서 "정부는 지금 당장 '김충현 협의체'를 꾸려야 한다. 특히 폐쇄되는 발전소에서 예고된 위험과 불확실한 고용불안을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 이행구조를 함께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