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25일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종료되는 8월 1일 이전에 협상을 타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날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 주재로 김용범 정책실장,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을 비롯해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참석해 통상대책회의를 가진 뒤 김용범 실장은 "8월 1일 이전에 상호 호혜적 타결 방안 도출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전했다.
김 실장은 현재 협상 상황과 관련해 "우리 측은 양국 간 제조업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와 상호관세 완화를 미국 측에 강하게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미국에 체류하며 25일(현지시간)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러트닉 상무장관과 추가 협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김 실장은 "현지 협상단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국익 최우선의 원칙 아래 한미 간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협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쌀과 소고기를 비롯한 농축산물 시장 개방도 협상 의제로 포함됐다. 김 실장은 "협상 품목에 농산물도 포함돼 있다"며 "농업이나 디지털 분야는 그리어 USTR 대표와 여한구 본부장 간 협상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했다.
위성락 실장은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의 대면 협상과 한미 재무·통상 수장이 만나는 '2+2 협의'가 무산된 데 대해 "일각에서 한미 간 협상 전선에 이상기류가 생긴 게 아니냐는 말도 있지만 협상은 계속 진행 중"이라고 했다.
다만 당초 통상·투자·구매·안보 전반에 걸친 패키지 협의를 제안했던 위 실장은 현재 진행 상황과 관련해 "안보 분야 패키지가 다른 분야보다 좀 더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고 했다.
위 실장은 "(패키지 협의 제안에) 경청하고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미국 내 인사들도 있고, 자기들이 맡고 있는 관세나 비관세나 투자 문제에 대해서 더 집중하는 부서도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안보 분야의) 안정적 에너지가 타 분야의 선순환적 효과를 주길 기대하고 있다"면서 "나머지 투자나 관세 분야 협의는 열심히 진행하는 상황"이라 했다.
김용범 실장은 "(안보 분야 외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기보다 미국이 어느 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는지를 듣고 상호 간에 도움이 되는 방안으로 제안을 했다"며 "미국이 더 관심 가지고 있는 분야도 있어 협의가 실질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이날 회의에선 미국과 일본이 타결한 협상 내용을 파악해 우리의 대응책을 모색했다고 한다. 김 실장은 "일본과 미국 간 통상 과정을 일본과의 협력 체계가 있어서 듣고 있다"면서도 다만 "양쪽에서 분명한 문서로 정리한 게 없어서 조금 더 분석과 평가가 필요하다"고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