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광주 지역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피해금액이 152억원에 달하며 전년 동기 대비 87%나 급증했으며, 60대 이상 고령층이 고액 피해의 주요 대상이 된 것으로 분석됐다.
9일 광주경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보이스피싱 범죄가 255건 발생해 지난해 같은 기간(211건)보다 20% 증가했다고 9일 밝혔다. 피해금액은 지난해 81억원에서 올해 152억원으로 87% 늘었고, 검거 인원도 236명에서 341명으로 44% 증가했다.
범죄 유형 중에서는 검찰·금융감독원·신용카드사 등을 사칭하는 '기관사칭형'이 118건(피해액 124억원)으로 전체 피해액의 80% 이상을 차지했다. 이들은 수표 발급을 유도해 거액을 편취하는 수법을 썼다. 나머지는 '대출사기형'(137건, 피해액 28억원)이었다.
총 피해자 가운데 1억원 이상 피해를 본 사례는 41명이며 이 중 60대 이상이 28명(여성 22명, 남성 6명)으로 전체의 68%를 차지했다.

경찰은 예방책 마련에도 나섰다. 지난 4월부터 아파트 우편함에 보이스피싱 수법과 예방법이 담긴 안내문을 배포하고 관리실 방송과 엘리베이터 게시판 등을 통해 지속적인 홍보를 벌였다. 또 금융기관과 간담회를 열고 협력 체계를 강화한 결과 올 상반기 25건에서 24억원의 피해를 예방했다.
◇'신규 휴대폰 개통·모텔 숙박' 지시까지…조직화된 최신 수법
경찰은 "보이스피싱 범죄가 점점 조직화·고도화되고 있다"며 시민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에는 '카드배송 사칭' 수법이 늘고 있다. 카드 배송원을 사칭해 가짜 고객센터로 전화를 유도한 뒤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해 휴대전화를 장악한다. 피해자에게는 휴대폰을 새로 개통하게 하거나 모텔에 숙박토록 하여 물리적으로 고립시키는 경우도 있다.
피해자의 심리를 장악하는 방식도 치밀하다. 검찰이나 금감원을 사칭해 "사기 범죄에 연루됐다"며 겁을 주고 "약식 수사로 도와주겠다"며 신뢰를 쌓았다. 이후 가족에게 알릴 경우 가족도 수사 대상이 된다고 협박하면서 피해자의 외부 연락을 차단했다.
이후 피해자는 피싱범의 지시에 따라 은행에서 현금이나 수표를 직접 인출하거나 계좌이체를 했다. 사기범들은 이 과정에서 금융기관의 문진 내용에 대비해 자금 사용처 등에 대해 거짓 답변을 미리 연습시키는 치밀함도 보였다.
경찰은 금융기관에 고액 인출 시 112신고를 요청하고 있으며 시민들에게도 출동한 경찰의 질문에 사실대로 답할 것을 당부했다.
광주경찰청 관계자는 "보이스피싱은 더 이상 단순 전화사기가 아닌 고도화된 조직범죄"라며 "경찰과 금융기관, 시민이 함께 경계하고 협조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