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을 방문 중인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7일(현지시간)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한미안보실장 협의를 갖고 관세 협상에 관한 소통을 이어가기로 했다.
위 실장은 "한미 간 현안 협상과 관련, 양국이 동맹 정신에 기초해 큰 틀에서 동맹을 더욱 강력하게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협의해 나갈 필요성을 강조했다"면서 "이를 위해 한미 안보실장 간 긴밀히 협력해 나가길 바란다"고 했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아울러 "조속한 시일 내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통해 제반 현안에서 상호 호혜적인 결과를 진전시켜 나가길 희망한다"고 했다.
이에 미국 측은 공감을 표하면서 "실제 관세 부과 시점인 8월 1일까지 시간이 있는 만큼, 양국이 그 전까지 합의를 이루기 위해 긴밀히 소통해 나가길 바란다"고 했다.
우리 측은 또 "새 정부의 실용외교가 굳건한 한미동맹에 기반해 있다"고 강조했으며, 양측은 "지난 70여 년의 역사를 지닌 한미동맹이 변화하는 안보 환경 속에서도 더욱 단단해질 수 있도록 계속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한미 조선 협력과 관련해선 "정부, 업계 등 다양한 영역의 역량을 결집하는 것이 이 분야에서 실질적이고 상호호혜적인 협력 방안 도출에 있어 관건인 만큼 긴밀히 조율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SNS를 통해 이재명 대통령을 수신인으로 하는 서한을 올리며 "한국에 8월 1일부터 상호 관세 25%를 부과할 것"이라고 했다.
당초 이달 9일부터 적용할 예정이던 관세 부과 시점을 3주 늦추면서도 25% 관세율은 유지하기로 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의 무역은 오랜 기간 공정하지 못했다"며 "25%는 무역 적자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참 모자라는 수치"라고 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무역 장벽을 없애면 관세 조정을 고려할 것"이라고 협상의 여지를 남겼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후 김용범 정책실장 주재로 통상 현안 관계부처 대책회의를 열어 미국의 관세 조치 현황과 대응 계획을 논의했다.
김 실장은 "양국 간 호혜적 결과 도출을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다양한 이슈들을 포괄해 최종 합의까지 도달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면서 "조속한 협의도 중요하지만 국익을 관철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가치"라고 했다.
그러면서 "당장 관세율이 인상되는 상황은 피했고, 7월 말까지 대응 시간을 확보한 만큼 국익을 최우선으로 미국과의 협상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자동차·철강 등 국내 관련 업종에 대한 지원대책을 차질없이 이행하는 한편, 시장 다변화 등 수출 대책도 보강하여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