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복지시설과 의료기관 등 취약계층 이용시설에 ‘숲길 복지’를 도입하기 위한 공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복권기금을 활용해 총 35억 원 규모로 추진되는 이번 사업은 환경과 복지를 융합한 공공정책으로, 지역사회 내 적용 가능성과 실효성에 관심이 모인다.
이번 공모는 산림청 산하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이 주관하며, 전북도는 도내 14개 시군을 대상으로 신청을 받아 서류 및 현장심사를 거쳐 최종 응모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접수는 오는 7월 16일부터 시작된다.
공모는 크게 녹색 인프라 조성과 숲체험·교육 기반 확충으로 구성된다. 녹색 인프라 분야에서는 복지시설 실외 공간을 숲으로 조성하는 ‘산림복지 나눔숲’, 도시 숲길에 장애물 없는 동선을 구축하는 ‘무장애 도시숲’, 그리고 교통 약자를 위한 ‘무장애 나눔길’ 설치 등이 포함된다.
숲체험·교육 지원은 특수학교나 사회복지시설에서 유아숲체험, 목재체험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지원 규모는 사업 유형에 따라 다르다. ‘나눔숲 조성’은 개소당 최대 2억 원(전액 국비), ‘무장애 나눔길’은 최대 16억 5000만 원(국비 50%), ‘무장애 도시숲’은 최대 5억 원까지 지원된다.
선정된 사업에는 보행환경 개선, 산책로 조성, 편의시설 확충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지역의 실정에 맞는 형태로 조성될 예정이다.
전북도는 2007년부터 해당 공모를 통해 도내 173곳에 나눔숲과 무장애길을 조성해왔다. 올해도 익산·정읍·완주 등 복지시설 3곳에 나눔숲을, 남원의료원에는 1.65km 규모의 무장애 나눔길을 조성 중이다. 그동안 축적된 사례들은 이번 사업의 방향과 효과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도는 이번 공모를 계기로 환경과 복지를 아우르는 ‘녹색 복지 모델’을 보다 체계적으로 확산하겠다는 계획이다.
송금현 전북도 환경녹지국장은 “이번 사업은 취약계층 누구나 안전하게 숲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보행 환경을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며 “설계부터 사후관리까지 내실 있게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