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문재인 전 대통령을 뇌물수수 혐의로 기소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은 이를 "명백한 정치보복이자 조기 대선에 영향력을 행사해 보려는 검찰의 정치행위"라고 규정하며 검찰개혁 필요성을 강조했다.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들도 검찰의 기소를 일제히 비판하고 나섰다.
조승래 수석 대변인은 24일 브리핑을 통해 "검찰이 지난 3년 5개월간 질질 끌던 문재인 전 대통령 사건을 난데없이 조기 대선을 40여 일 앞둔 오늘, 기소했다"며 "대면 조사는커녕 서면조사 한번 제대로 하지 않고, 사위가 받은 월급이 장인에 대한 뇌물이라는 황당한 논리로 벼락 기소를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즉시항고 포기로 내란수괴 윤석열을 석방시키고, 온 국민이 지켜본 김건희 명품백 수수 사건도 무혐의 처리한 검찰"이라며 "이런 검찰이 문재인 전 대통령을 기소하면서 앞으로도 권력을 이용한 공직자의 부패범죄에 엄정 대응하겠다고 발표했다. 황당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억지 기소는 검찰 개혁의 필요성을 검찰 스스로 한 번 더 증명한 것"이라며 "더불어민주당은 민심을 받들어 반드시 검찰 개혁을 완수하겠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 캠프도 "검찰에 의한 전 정부 탄압이자 정치보복이 명백해 보인다"며 "있는 죄는 덮고, 없는 죄를 만들며 권력을 남용하는 정치 검찰의 시대를 끝내야 한다"고 강유정 대변인이 입장문을 통해 밝혔다.
이어 "검찰은 범죄의 정황이 뚜렷한 김건희 여사의 주가조작 의혹은 불기소하고, 윤석열의 구속취소는 항고도 포기했다"며 "그런 검찰이 전 정부 인사에 대해서는 기소권을 남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검찰은 부당한 기소를 즉각 거두길 바란다"고 했다.
김동연 후보는 이날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아주 천인공노할 일"이라며 "파면된 내란 수괴를 항고조차 하지 못하는 검찰이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는 광기의 칼을 들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윤석열은 파면돼도 윤석열의 검찰은 그대로다. 칼 쓰는 사람의 문제가 아니라 칼 자체가 문제"라며 "검찰, 해체 수준으로 개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경수 후보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정치 검찰의 행태를 도저히 두 눈 뜨고 볼 수가 없다"며 "기소권만 남기고 수사 검찰, 정치 검찰은 완전 해체가 답이다"라고 적었다.

민주당 전정권정치탄압대책위원회도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키려 문재인 전 대통령을 제물 삼은 윤석열 정치검찰의 최후의 발악"이라며 "'정치 탄압'의 목적으로 출발하여 기소라는 결론에 이르기까지도 오직 검찰은 '정치 탄압' 외에는 관심이 없었다. 검찰에게 사건의 실체와 진실은 중요하지 않았다"고 했다.
이어 "12.3 불법 계엄이라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기막힌 범죄 때문에 치러지는 조기 대선을 앞두고 검찰이 다시 정치질을 시작한 것"이라며 "윤석열 전 대통령 뿐 아니라, '윤석열 일당'의 칼잡이 노릇을 멈출 생각이 없는 검찰 역시 오늘의 이 무도한 정치 보복에 대해 반드시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을 지낸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사위가 매일 아침 출근하고 일해서 받은 월급이 대체 어떻게 장인 어른에게 주는 뇌물이 된다는 말이냐"며 "전 대통령의 위헌과 불법으로 치러지는 조기 대선을 앞두고 어떻게든 선거에 영향을 미쳐보려는 정치적 계산이 아니라면 도저히 설명되지 않는 검찰의 날치기 기소"라고 적었다.
문재인 정부에서 국민권익위원장을 지낸 전현희 민주당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검찰이 스스로 '정치검찰 해체'의 방아쇠를 당겼다"면서 “6월 3일, 내란공범 정치검찰은 내란세력과 함께 반드시 청산될 것"이라고 적었다.
비명·비문계인 박용진 전 의원도 페이스북 글에서 "죽은 권력에는 엄정하면서 죽었는지 살았는지 알 수도 없는 좀비 권력에는 눈치만 보는 강약약강 정치검찰의 말로는 결국 처참할 것"이라며 "민주당 정권교체와 검찰개혁의 정당성이 하나하나 차곡차곡 쌓일 뿐"이라고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