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교육과 지역 발전을 연계한 실질적 해법을 모색하는 ‘제2회 전북교육포럼’이 22일 정읍 연지아트홀에서 열렸다.
이번 포럼은 전북교총, 전북교사노조, 좋은교육시민연대, 전북학력신장협의회, 전북교육발전참여연대가 공동 주최하고, 전북교사노조와 전북학력신장협의회, ㈜인포커스가 주관했다.
‘교육을 통한 전북 각 지역의 발전 방향’을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서는 학력 격차 문제와 진로‧진학 대안, 지역사회 협력 모델까지 다양한 방안이 논의됐다. 전북 교육 현장의 변화를 넘어 지역 발전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해법을 찾기 위한 자리였다.
개회사는 김인수 전북교육포럼 준비위원장이 맡았으며, 정동영‧윤준병 국회의원과 이학수 정읍시장, 박일 정읍시의회 의장이 축사를 통해 포럼의 의미를 더했다. 좌장은 송기도 전북대 명예교수(전 주콜롬비아 대사)가 맡아 논의를 이끌었다.
주제 발표는 네 가지 방향으로 진행됐다. 김윤태 우석대학교 사범대학장 겸 인지과학연구소장은 전북특별자치도과학기술연구원 설립과 전북과학영재고 신설을 제안하며, 지역 과학인재 양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공교육 시스템과 지역사회 간 협력 체계를 통해 ‘지역 주도형 과학인재 육성’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재석 전북교사노조 위원장은 고교학점제와 2028학년도 입시 개편에 따른 중‧하위권 학생들의 진학 대책 마련을 강조했다. 특히 내신과 수능을 통합 대비할 수 있는 통합형 교육과정의 필요성과 함께, 정읍 지역에 재수학원 설립 가능성도 언급했다.
오준영 전북교총 회장은 입시 경쟁을 넘어서는 창의·협업 능력 함양이 교육의 핵심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평가의 다양화와 진로 연계형 평가 체제 구축을 제안했다.
유성동 좋은교육시민연대 대표는 지역과 학교의 유기적 연계를 통한 지역 교육력 강화를 강조했다.
유 대표는 전북특별자치도의 ‘작은 학교 지원 조례’와 전북교육청 교육거버넌스위원회를 적극 활용해, 지역 맞춤형 교육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포럼 관계자는 “전북 교육의 현실을 진단하고 미래 교육을 준비하기 위한 의미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며 “이번 포럼을 계기로 교육이 전북 발전을 이끄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