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조기 대선이 6월 3일로 임박한 가운데 전북자치도와 광주, 전남 등 3개 광역단체가 각 당에 제시한 대선공약 규모를 놓고 해석 논쟁이 일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치러지는 21대 조기 대선 특성상 권역별 경선이 진행됨에 따라 여야 유력 후보들은 호남 공략 차원에서 광주·전남에 집중하고 있어 자칫 "전북이 호남의 별책부록으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민주당의 호남권 순회경선도 오는 26일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돼 3인 후보가 광주에서 열띤 토론전을 펼칠 예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호남 3개 광역단체가 각 당에 제시한 대선공약 규모를 놓고 서로 다른 해석이 나오며 해석 논쟁까지 가열되고 있다.
전북자치도는 현안의 대선공약 채택 여부가 차기 정부 5년간의 전북발전 성패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최근 6·3대선을 겨냥한 지역발전 공약인 '전북 메가비전 프로젝트'를 내놓았다.
9대 아젠다 74개 전략사업을 담은 전북도의 메가비전 프로젝트의 사업비 규모는 총 65조2718억원으로 집계됐다.
반면에 광주광역시의 경우 'AI 중심도시'를 전면에 내걸고 40개 사업에 총 81조원 규모의 대선공약을 제시했으며 전남도는 75개 과제를 묶어 총 191조9112억원 규모의 공약을 확정 발표했다.
광주·전남 2개 광역단체의 공약 규모만 273조원에 육박하는 등 전북(65조)의 4배 이상 된다.
광주(140만명)와 전남(178만명)은 인구로 따질 경우 320만명에 육박하는 등 전북(175만명)의 2배이지만 지역발전을 위한 밑그림을 4배 이상 크게 그린 셈이다.
지역개발 전문가들은 "밑그림을 크게 그리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얼마나 반영되는 게 중요하다"며 "3개 광역단체가 대선공약으로 제시한 각종 사업규모를 단순 비교하기보다 어느 정도 반영되었느냐를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후진 지역일수록 미래 비전 사업을 신규로 발굴하기 어려운 점이 있고 덩치를 키우기도 힘든 점이 있는 것도 무시할 수 없는 현실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다만 '꿈은 이룰 수 있는 것의 집합이 아니라 이루고 싶은 희망의 청사진'이라는 점에서 지레짐작하고 처음부터 스스로 위축되거나 졸아들어서는 안 될 것이라는 강한 주문도 나온다.
홍석빈 우석대 교양대학 교수는 "각 지역에서 제시한 대선공약이 각 정당의 공약에 모두 반영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꿈을 크게 가져야 설혹 그 꿈이 깨질지라도 파편이 클 것 아니냐"며 "광주·전남의 4분의 1 정도에 만족한 공약 제시는 아쉬움을 떨치기 힘들다"고 말했다.
전북자치도는 이와 관련해 "2036년 하계올림픽 개최지 선정과 관련한 각종 사업 등 유형자산을 모두 넣을 수 없었고 대선공약 압축과정에서 가급적 실행 가능한 사업 위주로 추린 것"이라는 입장이다.
천영평 전북도 기획조정실장은 "다른 지역과 비교해 단순히 대선공약 규모가 작다거나 크다를 떠나 무분별하게 넣지 않으려 했다"며 "실제 반영 가능성이 큰 사업, 실행 가능한 사업 위주로 추스리다 보니 그렇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천영평 실장은 "밑그림을 크게 그리는 것보다 실제 각 당의 대선공약으로 반영되는 것이 중요한 만큼 향후 반영 규모를 봐 달라"고 덧붙였다.
가능성 있는 그림을 그리고 최대한 반영해 나가야 한다는 '실용주의' 노선과 낙후의 굴레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각 분야에서 큰 그림을 그리고 통 크게 나갈 필요가 있다는 '열패주의 극복론'이 부딪히는 가운데 향후 주요 후보들의 대선공약에 전북 현안이 어느 정도 반영될지 새로운 관전 포인트로 떠올랐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