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주시가 세계 29개국 지방정부 수장들이 한데 모인 ‘2025 이클레이(ICLEI) 세계지방정부 기후총회’에서 시민과 기업이 함께하는 에너지 전환 전략을 선보이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세계 지방정부 연대의 중심에 섰다.
지난 4월 15일부터 16일까지 이틀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이클레이(ICLEI) 세계지방정부 기후총회’는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제출’을 앞두고, 지방정부의 역할 강화와 지역 기후행동 촉진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가운데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한 협력 방안 모색을 위해 기획된 대규모 국제회의다.
이번 총회는 전세계 29개국 82개 도시 지방정부 대표와 기후 정책 전문가 1,600여 명이 참석하여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 기반 녹색 전환’을 주제로, △과학기반 해법 △시민참여 촉진 △재생에너지 경제 △기후격차 해소 △자연과의 조화 등 5대 핵심 의제를 중심으로 세계 지방정부의 성공 사례와 혁신 기술을 공유하고 지방정부 차원의 기후 위기 대응과 국제 협력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파주시는 행사 첫날인 15일 ‘알이100(RE100) 네트워크 하이라이트’ 세션에 참가해 ‘파주 에너지 꽃이 피었습니다(PAJU ENERGY BLOSSOMS)’라는 구호를 전면에 부각시킨 「파주시의 알이100(RE100) 선언문」을 공식 발표했다.
29개 지방정부 수장들이 모인 ‘알이100(RE100) 네트워크 하이라이트’ 세션에서 직접 연단에 올라 선언문을 발표한 김경일 파주시장은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지방정부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은 알이100(RE100)을 실현하는 것”이라며, “파주시는 전국 최초로 알이100(RE100) 조례를 제정하고 전담팀을 신설해 공공이 앞장서 재생에너지를 직접 생산하고 공급하는 구조를 현실화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파주시는 지난해 알이100(RE100) 전담팀을 신설한 지 1년 만에 공공이 주도하는 전력구매계약제도(PPA) 기반 재생에너지 공급체계 구축에 전력을 다해왔고, 오는 11월 무렵에는 재생에너지 전력 공급을 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이처럼 지방정부가 주도하는 재생에너지 공급체계로서의 파주형 알이100(RE100)이 안정적인 기반을 갖추어 전세계 지방정부를 선도하는 모범적 사례가 될 수 있도록 꾸준한 투자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행사 둘째날인 16일, 파주시는 ‘기후경제: 알이100(RE100)’ 세션의 연사로 초청받아, 「기업과 시민의 알이100(RE100) 실현을 위한 PAJU 알이100(RE100) ROAD」를 주제로 정책을 발표했다. 주요내용은 파주시가 직접 국공유지를 활용하여 공공재생에너지를 생산하고 이를 중소기업에 공급하는 방안과 파주형 전력소매사업의 추진 및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신청해 시민의 재생에너지 선택권 확대와 전기요금 억제를 함께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한편, 이번 총회는 지방정부 공동행동 선언을 통해 파리 기후협의 이행을 촉진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이끄는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기 위한 해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