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삼척시가 과수 개화기 이상저온으로 인한 냉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기후변화 대응 과수 냉해 예방 지원사업’을 시행한다.
과수는 싹이 트고 꽃이 필 때 저온 한계온도가 –1.7℃에서 –2.5℃ 사이로, 이 시기에 갑작스러운 저온 현상이 발생하면 꽃과 어린 과실이 피해를 입어 상품성이 저하되고 수확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삼척시는 냉해로 인한 결실 불량에 대응하고 이듬해 착과량을 높이기 위해 모두 90ha 규모의 농가에 냉해 예방 자재를 지원하고 있다.
지원 품목은 요소와 붕소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해당 자재는 적정 시기에 살포될 수 있도록 기술 지도를 병행하고 있다.
시에서는 요소 0.3%(1.5kg/500L)와 붕소 0.1%(0.5kg/500L)를 혼합해 발아기와 녹색기(3~4월) 사이에 엽면 살포를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2차 살포는 수확이 끝난 낙엽기에 진행될 예정이다.
요소와 붕소 성분이 포함된 영양제를 1차(발아기~녹색기), 2차(수확 후 낙엽기)에 걸쳐 살포하면 꽃눈의 저장양분이 강화되고, 붕소는 수정률을 높이는 동시에 칼슘 함량 개선에도 효과가 있어,
결과적으로 꽃눈 생존율은 최대 53%, 착과율은 약 2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 관계자는 “최근 몇 년 새 이상기후 현상이 잦아지면서 결실 불량과 이에 따른 수확량 감소, 사과 가격 상승이라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며 “엽면 살포 기술을 잘 활용한다면 과수 품질은 물론 농가 소득향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또한 “농가가 자재를 적정량, 적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시는 개화기 저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기상예보의 지속적 확인 ▲재해 예방시설의 수시 점검 ▲추위 시 송풍법, 살수법, 연소법 등 활용을 통한 과원 내 기온 유지 ▲냉기 배출을 위한 장애물 제거 등의 조치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