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차기 정부 국정과제 선점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전북도는 7일 ‘전북 메가비전 프로젝트’ 발굴 결과를 발표하고, 향후 국가정책에 전북의 핵심 현안을 반영하기 위한 전략 구상을 공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총 74개 전략사업으로 구성됐으며, 사업 규모는 약 65조 2718억 원에 달한다. 도는 이를 통해 2036 하계올림픽 유치 기반 조성은 물론, 미래 산업과 인프라, 생태·문화 분야까지 포괄하는 종합적인 지역 발전 청사진을 제시했다.
발굴된 74개 사업은 △2036 하계올림픽 기반 조성 △K-문화올림픽 산업 거점 조성 △신산업 테스트베드 구축 △글로벌 초격차 미래산업 선점 △금융도시 구현과 산업 인재 육성 △첨단 농생명산업 수도 육성 △새만금 국가성장 전초기지화 △전북 광역 SOC 확충 △생태경제 창출 동력 확보 등 9개 분야로 구성됐다.
프로젝트는 도 실국과 14개 시군이 제안한 200여 건의 사업 가운데, 실현 가능성과 국정 연계성을 갖춘 74개 사업을 최종 선정한 것이다. 지난해 12월부터 행정부지사를 단장으로 한 전담 추진단을 운영하며, 실무 검토와 전문가 자문, 관계기관 협의를 반복해 전략적 완성도를 높였다.
전북도는 이번 메가비전 프로젝트를 각 정당과 대선 후보 캠프에 전달하고, 향후 공약화 및 국정과제 채택으로 이어지는 ‘국정과제 반영 로드맵’을 본격 가동할 방침이다.
특히 전북이 2036 하계올림픽 국내 후보지로 선정된 가운데, 도는 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한 교통망 확충과 문화·관광 인프라 구축을 중심으로 계획을 고도화했다. 연계 도시 간 접근성과 글로벌 수준의 관광 콘텐츠 확보에 중점을 두고 국가사업화 가능성도 함께 고려하고 있다.
전북도는 이번 프로젝트를 각 정당과 대선 후보 캠프에 전달하고, 향후 공약화 및 국정과제 채택으로 이어지는 ‘국정과제 반영 로드맵’을 본격 가동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가예산 확보와 중앙정부와의 정책 연계를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총사업비가 막대한 만큼, 예산 확보와 중앙정부 정책과의 연계 등은 향후 과제로 남아 있다. 일부 사업은 관련 법령과 제도의 개선이 선행돼야 하며, 기획재정부·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와의 조율도 필요하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추진까지는 상당한 조정 과정이 요구될 전망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정책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우선순위 조정과 타당성 검토를 병행하고 있다”며 “중앙정부와의 협력 구조를 촘촘히 설계 중”이라고 밝혔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이번 메가비전은 전북의 백년대계를 설계하는 출발점이자, 차기 정부 정책에 도의 목소리를 담기 위한 전략”이라며 “지역 정치권과도 긴밀히 협력해 주요 사업이 실제 국정과제로 반영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