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가 작년 12월 3일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122일 만인 4일 오전 11시22분에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했다.
전북도민들은 어둡고 길고 차가운 겨울을 불안에 떨며 보내야 했고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전전긍긍 헤아리기 힘든 밤을 지새우기도 했다.
그래서 대통령 파면은 민주주의를 지키려는 지역민들의 승리였고 전북은 민주적 헌정질서 회복의 주인이 되었다. 민심과 헌법은 일치했고 상식의 힘이 헌법적 가치로 재확인된 최종 선고였다.

이제 남은 과제는 일상의 신속한 회복과 미래를 향한 도약이다. 탄핵 국면에서 찬반으로 갈라진 마찰과 분열을 극복하고 포용과 관용으로 일상을 되돌리며 도전과 혁신으로 내일의 발전적 모멘텀을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우선 당장 올 6월로 예상되는 조기 대선에 전북의 현안을 주요 정당 공약으로 반영해 탄력적 추진의 기틀을 마련하는 일이 중요하다.
전북자치도와 14개 시·군은 조기 대선이 현실화할 경우를 대비해 자체적으로 대선공약 등을 준비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새만금 내부개발 재수립과 2036 하계올림픽 개최지 선정, 일자리 창출과 신성장 동력 확보 등 굵직한 현안을 하루빨리 추스려야 한다.
전북자치도와 정치권이 지금 이 순간부터 주요 정당의 대선공약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긴밀한 협력 프로젝트를 가동해야 할 것이다.
조기 대선은 단 2개월의 짧은 기간에 치러진다. 그런 만큼 전국 17개 시·도마다 현안을 대선 공약에 반영하려는 노력과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
김관영 전북도지사와 10명의 국회의원, 14개 시군단체장은 인적 네트워크를 총 가동하고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자원도 집중해야 할 것이다.
전북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바꿀 수 있는 '2036 하계올림픽' 개최지 유치 문제는 전북의 1순위 과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전북이 어렵게 서울과의 경쟁에서 국내 후보지로 선정된 만큼 지역발전을 10년 이상 앞당길 수 있는 '천재일우(千載一遇)'를 놓쳐선 안 될 것이다.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대광법)' 개정안이 국회의 벽을 넘어선 것과 관련해서도 신속한 대응이 절실한 실정이다.
여권의 지속적인 반발 등 천신만고(千辛萬苦) 끝에 5년 만에 대광법 개정안을 통과시킬 수 있었던 만큼 국가예산을 최대한 신속하게 담아낼 수 있는 도로와 철도 등 '광역교통망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대광법만 개정하면 뭐하겠느냐"며 "국가 재원을 담아낼 큰 그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익산시가 그동안 끊임없이 주장해온 '전북권 광역철도망 구축' 사업은 이미 관련 용역까지 마치고 노선도까지 나와 있다.
전체 예산도 1500억원 정도에 불과한 만큼 '대광법 개정안'의 '전북 1호 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전북자치도와 정치권이 힘을 합치는 '도-정 협력'의 마중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조국혁신당 전북자치도당 차원에서 '전북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을 위한 3조원 이상의 매머드급 밑그림을 그리고 있는 만큼 도와 야권이 힘을 똘똘 뭉쳐 신속하게 실현해 내야 한다.
아울러 전주·완주 통합과 새만금 신항만 등을 둘러싼 갈등과 분열을 지양하고 새로운 통합과 협력의 기회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새삼 '분열하는 집단에 미래가 없다'는 역사적 교훈을 들춰내지 않더라도 현재가 미래를 돕기 위해서는 협력이 중요한 과제이다.
사회단체의 한 관계자는 "대통령 파면 결정을 시발로 전북과 대한민국이 다시 한 걸음 더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탄핵국면을 함께 해온 전북도민의 역량과 결집을 향후 힘찬 재도약의 동력으로 순치(馴致)해 나가는 일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