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가 일제강점기 전북 지역 유학자들의 한시를 번역해 선보였다.
전주대 한국고전학연구소는 최근 연구총서 제16권 <조선환여승람에 실린 전북 한시>를 발간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번역의 원전인 <조선환여승람>은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 이후 공주의 유학자 이병연(1894~1977)이 전국 241개 군 중 129개 군의 인문지리 현황을 조사해 편찬한 책이다. 이는 조선시대 읍지의 전통을 계승한 인문지리서로 일제강점기에 조선의 지리와 역사, 인물을 조명한 기록물로 평가받는다.
이번 번역은 변주승 전주대 역사콘텐츠학과 교수(한국고전학연구소장)와 전병구 한국고전문화연구원 박사가 공동으로 진행했다.
연구진은 전북 13개 고을에서 전해지는 한시를 번역하고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작가들의 정보를 찾아 소개했다.
시의 제목은 다른 문헌이나 작자의 문집을 통해 추적하는 한편 오탈자를 찾아 원문도 바로잡고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3년에 걸쳐 수정과 교정을 거듭하며 최대한 많은 각주를 달았다.
변주승 교수는 “조선시대 전국 읍지를 모은 <여지도서> 번역을 통해 지리지가 지역사의 보고임을 드러냈다면 이번 책은 시의 소재가 된 지역의 산천을 규명하고 지역에 기반을 둔 작가를 발굴하는 등 지역사 연구의 주요한 단초를 제공하는 책이 될 것”이라며 “이 자료가 향후 지역문화 콘텐츠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