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에 이어 하계패럴림픽 개최계획 수립에도 본격적으로 나섰다.
전북도는 지난 3월 28일 ‘2036 전주 하계패럴림픽대회 개최계획 수립 용역’ 계약을 체결하고, 패럴림픽이 단순한 부속 행사가 아닌 독립적인 국제 스포츠 축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체계적인 준비에 돌입했다.
이번 계획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즐기는 ‘포용적 올림픽’ 실현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유니버설 디자인(모두를 위한 설계) 적, 무장애 환경 조성, 대회 이후 지속 가능한 유산(Legacy) 창출 등을 핵심 과제로 설정했다. 또한 전북도는 올림픽과 패럴림픽을 유기적으로 통합 운영해 효율성과 상징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전북특별자치도는 3월 27일 서울특별시와 면담을 갖고 2036 하계올림픽 유치 전략 및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전북도는 1988년 서울올림픽의 유산을 적극 활용해 한국이 올림픽 개최 경험을 보유한 국가임을 강조하며, 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도 완성도 높은 대회를 준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에 서울시는 2032 하계올림픽 유치 경험을 바탕으로 실무적 노하우를 공유하며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태균 서울시 행정1부시장은 "경기장 시설 사용 등 전북에서 요청하는 부분에 대해 적극 협조하겠다"며 지속적인 협력을 약속했다. 이에 최병관 전북도 행정부지사는 "2036 하계올림픽 유치는 대한민국 전체의 도전이기에 서울시와의 협력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며 "경쟁을 넘어 상생하는 파트너로 함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북도는 4월 8일(현지시간) 스위스 로잔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본부를 방문해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을 면담할 계획이다. 이번 방문은 2036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전북도의 국제적 행보를 공식화하는 첫 자리로,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유승민 대한체육회장과 함께 전북의 유치 비전과 전략을 직접 설명한다.
김 지사는 전북의 유치 전략이 IOC의 핵심 가치인 △지속가능성 △유산(Legacy) △사회적 연대를 반영하고 있음을 강조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기존 인프라 활용, 지역 간 협력 모델, RE100 기반 탄소중립 대회 등을 제안하며, 전주의 문화적 매력과 K-컬처 경쟁력도 함께 부각할 예정이다.
전북도는 IOC 올림픽게임부서의 미래올림픽게임유치팀과 별도 논의를 진행해 IOC의 평가 기준을 파악하고, 실질적인 국제 소통 기반을 다지는 기회로 삼을 방침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