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영길 소나무당 대표가 제주 4·3의 완전한 해결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송 대표는 1일 서울구치소에서 올린 글에서 "제주 4·3 77주년 잠들지 않는 남도, 한라산에 다시 4월이 온다"며 "4·3 희생자들의 영혼을 기리며 유가족 여러분께 위로와 격려, 함께하겠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
송 대표는 "김대중 정부에서 4·3 특별법이 만들어지고, 노무현 대통령이 국가를 대표해서 4·3 피해자, 유가족들에게 공식 사과를 하고, 문재인 정부 때 4·3 피해자 배·보상법이 만들어졌다"며 "김오수 검찰총장 때부터 직권재심청구 등으로 붉은 딱지를 붙였던 무고한 희생자들의 누명이 벗겨지고 무죄 판결을 받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송 대표는 하지만 "아직도 분단된 현실에서 4·3 사건은 정확히 이름도 붙일 수 없는 백비 상태로 남아있다"며 "감옥에 갇혀 있다 보니, 4·3으로 억울하게 끌려와 대전형무소 등 감옥에 갇혔던 제주 도민들이 6.25가 발생하자 군경에 의해 재판도 없이 무참히 총살된 사건이 떠올려진다"고 회고했다.
또 "비상계엄을 빙자한 내란 세력들이 시체를 담는 영현백을 3천여 개 준비했다는 소식에 소름이 끼친다"면서 "같은 민족, 이웃 형제를 서로 적으로 규정하고 살해하고 불태우는 야만의 폭력을 멈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남과 북의 화해와 협력으로 한라에서 백두까지 민족이 화해하고 협력하는 꿈을 포기할 수 없다. 유채꽃이 흐드러지게 피어나는 제주의 4월, 그 희생과 아픔을 승화하여 민족과 동북아의 평화의 섬으로 발전해 가는 데 함께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송 대표는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로 당선되기 위해 2021년 3∼4월 총 6천650만원이 든 돈봉투를 당 국회의원과 지역본부장에게 살포하는 과정에 개입한 혐의로 기소됐다.
2020년 1월∼2021년 12월 먹사연(평화와 먹고사는 문제 연구소)을 통해 후원금 명목으로 기업인 7명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 총 7억6천300만원을 받은 혐의도 받았다.
1심 재판부는 돈봉투 관련 혐의에 대해 모두 무죄로 판단했다. 다만 먹사연을 통해 후원금 명목의 불법 정치자금을 수수한 혐의에 대해서는 유죄가 인정돼 지난 1월 8일 구속 수감됐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