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가 공직사회의 청렴도를 최상위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청렴정책을 한층 강화한다.
전북자치도는 17일 김관영 도지사 주재로 ‘2025년 제1차 청렴정책조정회의’를 열고, 공직사회 청렴도 1등급 달성을 위한 전략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2025년 반부패‧청렴정책 추진계획’을 공유하고, 실국 간 협업을 통해 실효성 있는 청렴정책을 추진키로 뜻을 모았다.
김관영 도지사는 “청렴은 공직사회의 가장 중요한 가치이며, 도민의 신뢰를 받는 공직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올해를 공직자로서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한 해로 만들기 위해 전 직원이 청렴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북자치도 감사위원회는 2025년 청렴정책 방향으로 △반부패‧청렴 인프라 조성 △부패통제 실효성 확보 △소통과 참여를 통한 청렴문화 확산 등 3대 전략과 45개 세부과제를 제시하며, 최근 3년간 3등급을 유지해온 공직사회 청렴도를 1등급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도는 고위공직자의 솔선수범을 유도하고, 조직 내 특권과 구태의연한 관행을 철폐하는 한편, MZ세대 공무원의 의견을 반영한 청렴정책을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조직 내부의 불합리한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청렴 서포터즈’를 운영하고, ‘간부 모시는 날’을 시행해 수직적 조직문화를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도 감사위원회는 올해 ‘제1호 청렴주의보’를 발령하고, 4월 말까지 ‘간부 모시는 날’과 ‘직무상 갑질’에 대한 집중 신고기간을 운영하기로 했다. 공직자 행동강령 위반 행위가 적발될 경우, 엄정한 조치를 통해 강력한 반부패 기조를 유지할 방침이다.
청렴도 향상을 위한 대민 소통도 강화된다. 전북자치도는 ‘찾아가는 청렴 소통 간담회’를 확대 운영하고, ‘도민감사관 청렴소통추진단’을 활성화해 도민이 직접 참여하는 청렴 정책을 추진한다. 또한 공공재정 부정수급 방지를 위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지방보조금 부정수급 차단을 위해 ‘공공재정환수법’ 적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전북자치도는 4~5월 중 ‘청렴서약식’과 ‘제2차 청렴정책조정회의’를 개최하고, 7월 ‘제3차 청렴정책조정회의’를 열어 국민권익위원회의 제도개선 권고 이행 상황을 점검하는 등 지속적인 청렴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