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청년 유출을 막고 지역경제 활력을 높이기 위해 ‘2025년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사업을 통해 청년들에게 안정적인 취업 기회를 제공하고, 기업의 인력난 해소와 창업 지원을 강화해 지역 정착을 유도할 계획이다.
올해 사업에는 총 51억 원이 투입되며, 이를 통해 청년 600명에게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한다. 사업 유형은 크게 직접일자리 지원(1유형, 587명)과 창업지원(2유형, 13명)으로 나뉘며, 각각의 특성을 반영한 지원이 이뤄진다.
직접일자리(1유형)에서는 기업이 청년을 신규 채용할 경우 월 160만 원의 인건비를 최대 2년간 지원한다. 또한 3년 이상 근속한 청년에게는 최대 1000만 원의 정착 인센티브를 지급해 장기근속을 유도한다.
창업지원(2유형)에서는 창업 초기 청년들에게 1~2년 차에 최대 3000만 원의 창업지원금을 제공한다. 또한 3년 차에는 청년이 추가로 직원을 고용할 경우 최대 2400만 원(자부담 20% 포함)의 인건비를 지원해 지속 가능한 창업 환경을 조성한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취·창업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정착을 돕는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지역 기업과 연계해 일자리 매칭을 강화하고,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인태 전북자치도 기업유치지원실장은 “지역 청년들이 가진 역량이 지역 기업과 사회 발전의 중요한 원동력이 될 것”이라며 “청년들이 지역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일자리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