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는 시 전역에 대해 ‘3차원 디지털 트윈 데이터 셋’을 구축했다고 14일 밝혔다.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은 현실세계의 기계나 장비, 사물 등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 구현하는 기술로, 가상공간에 실물과 똑같은 물체를 만들어 다양한 모의시험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거나 분석한 뒤 대응 방안을 검증할 수 있다.

이미 미국과 싱가포르 및 영국 등에서는 미래 환경을 예측하고 도시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해당 기술을 도입해 적극 활용 중이다.
앞서 2023년 국토교통부의 ‘디지털트윈 국토 시범 사업’ 공모에 선정된 시는 지난해 기흥구와 수지구의 경부·영동고속도로 일원 약 37.4㎢에 디지털트윈을 기반으로 한 ‘3차원 디지털 트윈 데이터 셋’을 구축하고 시범사업을 운영했다.
올해는 시 전역(591.5㎢)으로 ‘3차원 디지털 트윈 데이터 셋’을 확대 구축해 운영한다.
시 전역에 대해 ‘3차원 디지털 트윈 데이터 셋’을 구축한 기초지방자치단체는 용인시가 최초다.
시는 ‘3차원 디지털 트윈 데이터 셋’을 통해 △다방향 항공 경사 카메라와 항공 레이저 센서 촬영 데이터 △3차원 건물 모델 제작 △수치표고모델 제작 △실감 정사 영상 제작 등 대규모 공간 데이터를 구축했다.
해당 데이터의 객관적인 신뢰성 검증을 위해 지난해 12월 공간정보품질관리원의 공공측량 성과 심사에서 적합 판정을 받은 시는 지난달부터 ‘용인 행정 디지털 트윈 플랫폼’에 적용해 국·공유지와 육교 및 교량 등의 시설을 관리하는 데 적극 활용하고 있다.
시는 앞으로 도시계획 등의 심의 업무를 지원할 수 있도록 가시권·조망권 분석과 입체 조감도 기능 구현 및 여름철 집중호우 발생에 대비하도록 침수 상황 예측 모델 개발 등도 추진할 방침이다.
이상일 시장은 "시 전역에 ‘3차원 디지털 트윈 데이터 셋’이 구축된 만큼, 이를 잘 활용해 시민들에게 꼭 필요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