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환경운동연합은 13일 전주시의 덕진공원을 망치는 열린광장 조성과 명소화 사업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를 촉구했다.
연합측은 이날 전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덕진공원의 열린광장 조성 사업으로 녹지가 감소하고 시민들이 불편이 따르고 경관훼손 뿐 아니라 예산낭비 우려가 된다고 주장했다.
특히 연합측은 전주시가 덕진공원의 생태적 \uf09e \u Na N관적 \uf09e \u Na N사문화적 기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지 않고 관광적인 요소만 중심에 둔 예산낭비 난개발사업으로 전락한 열린광장 조성사업을 중단하고, 전면 재검토 할 것을 촉구했다.

또 이들은 전주시 도시공원위원회는 조건부 이행여부를 확인하고,‘덕진공원 관광지 육성사업 종합계획’이 ‘덕진공원 전통정원 조성 기본계획’과 부합하는지 전반적이고 종합적으로 자문, 심의할 것으로 건의했다.
이밖에 공원 사업의 1순위는 도시공원 일몰제로 사라질 위기에 놓인 도시공원 내 사유지 매입으로 필요치 않고 급하지도 않은 개발사업을 최소화하고, 사유지 매입에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우범기 전주시장은 2023년 8월 덕진공원을 전국 명소로 키우고, 머물고 싶은 친수공간으로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2028년까지 550억원을 투입해 22개 사업을 추진하는 ‘덕진공원 관광지 육성사업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진행 중인 열린광장 조성사업은 소나무, 느티나무, 중국단풍, 목련 등 350그루의 나무와 언덕(마운딩)을 제거해 단지 연못과 연화정 도서관의 조망권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 사업이다. 시야를 가린다고 울창하게 숲을 이룬 200여 그루 중 150그루를 혁신도시 일대 공원에 옮겨 심고, 조경과 관리에 불리하다고 판단한 50그루를 잘라냈다. 다른 150그루는 다시 열린공원 주변에 옮겨 심고 있다.
연합측은 “시민들은 단지 공원 바깥에서 연화정이 보이지 않는다고, 시야 개방감을 확보하기 위해서 숲을 없애고, 야외 의자와 나무 그늘을 없애고 쉴 곳이 사라졌다며 크게 분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전주시 도시공원위원도 폭염일수가 늘어나는 기후 조건상 나무 그늘과 쉴 곳이 더 필요하다고 비판했다.
더위를 피할 곳이 줄어드니 인공 그늘막(파고라)을 설치한다는 대책이 나왔다. 이런 사업은 그늘을 없애고 자연스럽게 안정화한 수림 경관을 생경하고 황량한 공간으로 만드는 것, 해야 할 이유도 필요도 없는 예산낭비 사업이자 시민 이용에 불편만 주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측은 열린광장 조성사업이 이대로 마무리되면 △전통 담장길 조성 △수변쉼터 조성 △연지교 재가설 △전통놀이마당 조성 △취향정 수변 정비 △연꽃군락지 조성 등의 사업이 줄줄이 이어지고 추후 얼마나 또 많은 나무가 사라질지 모른다고 밝혔다. 덕진연못에 사는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인 토종 거북 남생이와 최근 모습을 보인 수달 가족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온실가스 흡수원으로 탄소중립 숲 기능도 크게 떨어뜨린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이 열린광장 조성사업 관련 8대 전주시 도시공원위원회 회의 안건과 회의록 등을 정보공개 신청하고 이를 검토한 결과, 덕진공원 전통정원 조성 기본계획’은 물론, 2023년 8월 우 시장이 발표한 ‘덕진공원 관광지 육성사업 종합계획’의 심의나 자문을 거치지 않고 개별사업인 열린광장 조성사업만 심의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정현 전북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는 “8대 전주시 도시공원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이 공원 보전과 관리감독, 계획 심의기구로서 기능과 위상이 약화된 것이 이 같은 사업을 추진하게 된 원인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