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수자원공사는 CES 2025에서 대한민국 물관리 혁신 기술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 수출 확대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13일 밝혔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 현지에서 열린 세계가전전시회 CES 2025에서 19개의 국내 물산업 스타트업과 함께 K-water 전시관을 운영했다.
이번행사 기간 한국수자원공사는 기후위기 시대 속 미래 물안보 확보의 핵심이 될 기술들을 선보이며 세계 각국과 협력의 계기를 확대했다.
특히 전시관에서 물관리 디지털트윈·인공지능 정수장·스마트 관망관리 등 3대 초격차 기술을 미래 물관리 기준으로 제시해 기후변화 시대 물관리 인프라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해법으로 제안하며 이목을 끌었다.
나흘간 열린 전시관에는 9500여 명의 해외 투자자와 연구기관 관계자의 방문이 이어졌으며 총 800여 건의 수출·투자 상담과 현지 제품·기술 실증 및 기술협력 논의, 5건의 협약 체결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2023년부터 이어진 세 차례의 CES 참여를 비롯해 해외시장개척단 등 글로벌 진출 프로그램으로 진입장벽 높은 해외 물시장에 혁신 기술을 가진 국내 물기업이 진출하는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다. 지원받은 기업들의 누적 수출액은 2024년 말 기준 약 2315억 원에 달한다.
안정호 한국수자원공사 그린인프라부문장은 "이번 CES 2025는 대한민국 물관리 기술의 혁신성을 확인하고 해외 진출의 입지를 넓힐 기회를 마련한 것에 있어 그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물산업 혁신을 선도하는 플랫폼으로서 글로벌 물테크 분야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새로운 시장을 적극 개척해 신성장동력을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