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북도의 행정통합 추진력을 얻고 있다.
우여곡절 끝에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 간 합의를 끌어내며, 후속 절차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시·도민의 공론화가 부족하다는 등 신중론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21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대한 합의문을 발표하고 서명했다.
격렬한 논쟁을 일으킨 쟁점과 관련해 시·군·자치구는 통합 후에도 종전 사무를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또 주된 통합 청사와 그 위치는 대구와 경북의 청사를 활용하고, 각각 청사는 소재지별 지역 특성을 고려해 기능을 배분하기로 했다.
경북도는 그동안 통합에 반발해온 지역을 고려해 꾸준히 북부권 발전 대책과 낙후지역 균형발전 전략의 필요성을 역설했고, 합의안에 통합발전전략 마련과 균형발전 적극 추진을 관철했다.
일각의 공론화 과정이 부족했다는 지적과 관련해 의견수렴 절차는 시도의회 의견 청취를 원칙으로 하고 충분한 주민 의견수렴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대구경북특별시' 법적 지위는 서울특별시에 준하는 것으로 설정했다.
시와 도는 2026년 7월 1일 통합 자치단체를 출범한다는 목표로 중앙부처 협의, 여론 수렴 등 관련 절차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일각에서 꾸준힌 제기된 공론화 과정은 권역별 설명회 및 토론회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지역별 복잡한 이해관계 속 공감대를 형성이 관건이다.
경북도의회 등은 권역별 현장 간담회와 전문가 그룹 참여 토론회 등 민주적 절차를 꾸준히 요구하고 있다.
이날 합의를 두고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은 "거친 행정의 표본"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시민이 없고 로드맵이 없다"라며, "광역단체장의 권한 통제, 지방의회 힘 강화, 제 정당과 시민사회의 감시와 참여를 전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대구와 경북이 통합으로 많은 권한과 재정을 확보하게 되면 다른 지역과 형평성 문제가 대두될 수 있어 국회 설득 등이 통합에 마지막 고비가 될 전망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