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학교 급식실의 공기질 개선을 통해 조리실 근로자가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도교육청은 ‘경기도형 학교 조리실 환기 개선 기준’을 마련, 오는 2027년까지 총 224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도내 1700개 교 급식실 환기시설을 개선한다고 1일 밝혔다.

고용노동부의 ‘학교급식 조리실 환기설비 설치지침’과 ‘단체급식시설 환기에 관한 기술 지침’을 근거로 추진되는 이번 개선 사업은 그동안 급식 조리실 종사자들의 열악한 노동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 요구에 따른 것이다.
실제 현장에서는 폐암 등 각종 산재성 질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자 ‘공기질 개선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는 지적과 불안감 호소가 잇따랐다.
이에 따라 ‘경기도형 환기 개선 기준’은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완벽한 제거를 위한 청정시스템 설치 △오염물질 등의 농도를 측정해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 △풍속·풍량 및 조리실 내 오염물질 등을 자동 제어하는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 등의 내용을 담았다.
특히 조리실의 공기질 결과에 대한 엄격한 자료 관리를 통해 근로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실시간 모니터링과 자동제어시스템을 구축해 최적의 환경에서 일할 수 있는 근로 여건을 조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도교육청은 9월 말 완료를 목표로 이달부터 관련 연구용역에 착수한다.
여름방학 기간에는 경기도형 환기 개선 기준을 적용한 2개 시범학교도 운영, 실제 현장 적용 사례를 확인하고 효과성을 검증한 뒤 경기도형 환기 개선 기준의 전면 적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올 겨울방학부터는 자동제어시스템을 갖춘 경기도만의 환기설비 기준을 적용할 예정이다.
임태희 교육감은 "급식실의 오염물질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자동 제어하는 시스템이 구축되면, 현장 조리 근로자의 폐암 걱정도 사라질 것"이라며 "현장에서 믿고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한 급식실 구현을 위해 충분한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