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성남시는 보건의료 분야 위기 경보 수준이 ‘심각’ 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의료공백 최소화를 위해 응급의료협의체를 구성, 비상진료 협력 체계에 나선다고 5일 밝혔다.
성남시 응급의료협의체는 이진찬 성남부시장이 위원장을 맡은 가운데 △수정·중원·분당구보건소장 △성남·분당소방서장 △성남시의료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분당차병원 △분당제생병원 △성남중앙병원 △성남정병원 △국군수도병원 등 응급의료기관장 등 13명으로 구성됐다.
![](/_resources/10/2024/03/05/2024030518023234568_l.jpg)
이날 오후 첫 회의를 가진 협의체는 현재 비상진료대책 추진 상황을 점검한 뒤 의료계 집단행동에 따른 지역 내 응급의료 공백 최소화와 비상 진료를 위한 기관 간 긴밀한 협력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또 성남·분당소방서는 응급실 과밀화와 응급의료 종사자들의 피로도 완화를 위해 중증 응급환자 외에는 관내 야간·휴일에 운영하는 의료기관 이용을 안내하기로 했으며, 각 응급의료기관은 중증 응급환자의 골든타임 사수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현재 시는 시민의 의료 이용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성남시의료원 외래진료와 3개 구 보건소 내과 진료를 평일 오후 8시까지 2시간 연장해 운영 중이다.
의료기관의 진료 현황과 운영시간은 ‘129(보건복지상담센터)’와 ‘119(구급상황관리센터)’ 및 ‘120(시·도 콜센터)’을 통해 안내받거나 시보건소 홈페이지 또는 응급의료정보제공(e-gen) 앱 및 응급의료포털을 통해 확인하면 된다.
시 관계자는 "시민이 필요로 하는 의료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