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지난해 '기술닥터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해결과 기술개발 등 1200여건을 도왔다. 2009년 이후 현재까지 1만3000여건을 지원했다.
25일 도에 따르면 기술닥터사업은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닥터가 제품개발과 공정개선 등 산업 현장의 다양한 기술 애로에 처한 기업을 방문해 맞춤형 기술을 체계적으로 지원해주는 사업이다.
![](/_resources/10/2024/01/25/2023071111081520524_l.jpg)
기술닥터 사업은 △기술닥터가 기업을 방문해 제품·공정상 애로 기술을 컨설팅해 주는 맞춤형 기술 지도인 '현장애로기술지원' △4개월간 시제품 제작 또는 공정개선 등 구체적 성과물을 도출하는 심화 지원인 '중기애로기술지원' △6개월간 기업의 매출향상 및 고용창출과 연계되는 시제품의 상품화를 위한 '상용화지원' △기술지원 과정에서 필요한 시험분석, 설계 및 시뮬레이션, 목업(실물크기 모형 제작), 크라우드 펀딩 등 '단계별 검증지원'으로 나뉜다.
도는 올해도 기술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내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2024년 기술닥터사업'을 추진한다.
단계별 지원에 대한 세부 사업내역과 신청 절차는 경기도(gg.go.kr)와 경기테크노파크(www.gtp.or.kr) 누리집의 사업 공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기술닥터 누리집(tdoctor.gtp.or.kr)에서 신청할 수 있다.
김태근 디지털혁신과장은 “중소기업은 자금난과 전문인력 부족으로 기술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현실이다”라며 “급변하는 글로벌 기술 환경 속에서 다양해져가는 애로 기술에 선도적으로 대응해 중소기업의 혁신 성장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