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이 필요 없다는 이야기 나올 수 있도록 공교육이 변화해야 합니다."
경기도교육청이 경기도내 8개 시·군 특색에 맞는 ‘교육발전특구 맞춤형 모델’ 발굴에 나선다고 9일 밝혔다.
![](/_resources/10/2024/01/09/2024010917331424453_l.jpg)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은 이날 이주호 교육부장관 겸 사회부총리와 함께 양주 상수초등학교를 방문, 강수현 양주시장과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 관계자 및 교직원을 비롯해 학생과 학부모 등과 함께 지역 교육발전 방향에 대한 대화를 진행했다.
이는 교육부가 추진 중인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선정을 앞두고 현장의 상황을 직접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발전특구는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 대학 및 지역기업 등 지역이 주도하는 교육혁신을 통해 지역 교육의 혁신과 우수인재 양성 및 정주까지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으로, 현재 교육부는 다음달 9일까지 시범지역 선정을 위한 1차 공모를 진행 중이다.
기초지방자치단체장과 교육감이 공동으로 신청하는 ‘1유형(기초지자체)’과 광역지자체장과 교육감이 공동 신청하는 ‘2유형(광역지자체)’ 및 ‘3유형(기초지자체)’ 등으로 구분된다.
도교육청은 △김포시 △고양시 △동두천시 △양주시 △파주시 △포천시 △연천군 △가평군 등 8개 수도권 인구감소지역 또는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교육발전특구 선정을 추진 중으로, 8개 시·군 특색에 맞는 교육발전특구 맞춤형 모델을 발굴하고 있다.
도교육청은 향후 교육발전특구 선정을 통해 유아부터 초·중·고 및 대학까지 연계해 공교육 안에서 다양한 교육을 제공할 방침이다.
이날 임 교육감 등이 방문한 상수초는 지역 특색을 살린 교육과정 운영으로 폐교 위기를 극복한 사례로 꼽힌다.
임 교육감은 "학교의 변화는 교직원이 주도하고, 학생과 학부모 및 지역사회가 협력하며 만드는 과정"이라며 "상수초는 작은 학교의 가장 좋은 사례이자, 주위에서 보고 배울 점이 많은 곳"이라고 말했다.
이어 "교직원들이 협력하며 아이들이 바뀌고 학교가 바뀌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앞으로 ‘공교육도 이렇게 바뀔 수 있구나, 공교육이 바뀌어 더 이상 사교육이 필요 없다’는 이야기가 나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