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의 평균 출근 소요시간은 39분이며, 서울 출근의 경우는 평균 1시간 7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는 지난 9월 1일부터 15일까지 도내 3만 1740가구 6만 2257명(1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2023 경기도 사회조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_resources/10/2023/12/24/2023122410474800308_l.jpg)
사회조사는 △복지 △주거와 교통 △문화와 여가 △교육 △소득과 소비 △일자리와 노동 등 6개 부문에 대해 이뤄졌다.
조사 결과 도민 10명 중 6명이 출근을 하고 있으며 출근 지역은 거주하고 있는 시군이 54.5%로 가장 많고, 도내 다른 시군 21.4%, 서울 20.3% 순으로 집계됐다.
출근 시 평균 소요시간은 39분이었으며, 거주 시군 내 출근은 평균 24분이었다. 도내 타 시군 출근은 48분, 서울로 출근은 1시간 7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모든 연령대에서 거주 시군으로 출근하는 비중이 가장 높으며, 서울 출근은 30대(25.2%)가 가장 많고, 20대(23.7%)가 뒤를 이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서울로의 출근은 적고 거주 시군 내 출근 비율이 높았다.
거주 시군 내 출근 비중이 높은 곳은 연천(89.4%) 여주(86.3%), 가평(85.8%) 순이고, 도내 타 시군 출근 비중이 높은 곳은 오산(47.5%), 의왕(44.7%), 군포(38.5%) 순을 보였다.
서울로 출근 비율은 과천(50.1%)이 가장 높고, 광명(46.9%), 하남(45.9%), 구리(42.2%) 순으로 서울과 가까운 시의 비중이 높았다. 해당 시들은 출근 시 평균 소요시간도 1시간 이내인 것으로 조사됐다.
출근 시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승용차(54.1%)였으며, 대중교통 이용은 31.4%(버스 18.3%, 전철·지하철 13.1%)로 집계됐다.
대중교통(버스+전철) 이용률이 높은 시군은 과천(50.4%), 성남(46.8%), 광명(45.7%), 안양(44.2%), 부천(42.4%)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10대(75.2%), 20대(53.5%)는 버스, 전철·지하철을 주로 이용해 출근하고, 30대 이상은 승용차로 출근하는 비율이 높았다.
도 관계자는 “조사 결과는 도와 31개 시군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