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평화보다 더 큰 국익은 없다. 접경지역인 파주에서 평화를 얘기할 수 있어 대단히 기쁘다"라고 말했다.
27일 경기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이날 파주시 임진각 DMZ 생태관광지원센터에서 열린 '제8회 맞손토크'에 참석해 "오늘 정전 70주년이다. 남북 관계가 많이 힘들고 긴장 관계가 계속되고 있어도 경기도는 평화를 이야기한다. 평화가 곧 경제이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한국전쟁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열린 이번 맞손토크에는 김 지사와 김경일 파주시장을 비롯해 이용욱·이한국 도의원, 김정노 한국통일협회 부회장, 이정훈 경기연구원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연구단장과 접경지역 주민 등 250여 명이 참석했다.
김정노 부회장은 주민과 대화에서 "접경지역은 공간적, 관계적 평화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는 귀중한 공간으로 접경지역의 절반 이상을 품고 있는 경기도는 축복받은 지자체"라며 "이곳을 전 세계인을 대상으로 한 분쟁의 고통과 평화의 필요성을 체험하는 국제 평화 연수(교육과 관광)의 장으로 만들어갈 필요가 있다"라고 제안했다.
비무장지대 내 대성동 주민 김동구씨는 민통선 마을 주민들의 삶의 모습을 생생하게 전했으며, 인청식 ㈜성원 대표이사는 접경지역 기업인 대표로 접경지의 규제 실상을 알렸다.
이정훈 연구단장은 접경지역 특구지정 청사진을 발표하며 "평화경제특구로 지정되면 여러 가지 세제 혜택, 지원 부담금 감면 등을 받을 수 있어 굉장히 많은 기업이 여기에 관심을 갖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신재생에너지, 디지털, 바이오 등 첨단기업을 유치해 탄소중립 디지털 도시를 만들고, 접경지역이 가지고 있는 국제적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관광단지, 마이스, 국제교류를 복합시키는 계획을 수립한다면 좋은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밖에 파주시 주민들은 △실질적인 통일교육 △평화경제특구를 위한 지원 △접경지역특례법 시행령 개정 △광역버스 확충 등을 건의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 역점사업이 경제 활성화와 기후변화 대응, 평화인데 이 모든 것과 관련된 곳이 파주"라며 "창구를 열어놓고 잘 듣고 최선을 다해서 여러분 기대에 부응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