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경기지청(경기고용노동지청)은 고용보험 부정수급 근절을 위해 집중 신고기간을 운영한다고 11일 밝혔다.
경기고용노동지청은 다음달 9일까지 운영되는 이번 집중신고기간을 통해 △실업급여 △육아휴직급여 △고용장려금 △직업능력개발사업 훈련비 등 고용보험 지원금을 부정한 방법으로 지급받은 행위(부정수급)에 대해 자진신고 또는 제보를 받는다.
고용보험 사업별 주요 부정수급 유형은 △근무기간·이직사유 등을 허위로 신고하거나 수급기간 중에 취업한 사실을 신고하지 않고 실업급여를 받는 행위 △실제 휴직하지 않았음에도 허위서류를 제출, 육아휴직급여를 받는 행위 △허위 근로자를 고용보험 피보험자로 신고해 고용장려금을 받는 행위 △훈련생의 출석률을 조작해 직업능력개발훈련 비용을 지원받는 행위 등이다.
자진신고 및 제보는 온라인(고용보험 또는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국민신문고) 또는 경기고용노동지청 고용관리과 부정수급조사팀을 방문하거나, 팩스·우편으로도 가능하다.
집중신고기간 중 부정수급을 자진신고한 자에 대해서는 추가징수(부정수급액 최대 5배)를 면제하고, 부정수급액·처분 횟수 등 범죄의 중대성을 감안해 형사처벌(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 벌금)이 감면된다.
고용안정사업의 경우는 지급 제한 기간을 3분의 1까지 감경한다.
다만, △공모형 부정수급 △최근 3년간 부정수급 이력자 △부정수급액 등 감안 처벌이 불가피할 경우에는 제외된다.
경기고용노동지청은 또 부정수급 제보자에 대해 비밀보장 등을 통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고, 제보내용 조사 결과 부정수급에 해당하면 실업급여·육아휴직급여 등은 부정수급액의 20%(연간 500만 원 한도)를 지급한다.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사업은 부정수급액의 30%(연간 3000만 원 한도)를 지급한다.
집중신고기간 이후에는 부정수급 특별점검을 대대적으로 실시, 적발자를 엄정 조치할 계획이다.
경기고용노동지청 관계자는 "고용보험 부정수급은 중대한 범죄행위"라며 "실업급여·고용장려금 등을 본인 또는 타인이 부정한 방법으로 받았다면, 조속히 자진 신고하거나 제보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