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는 시민 안전 강화를 위해 올해부터 2027년까지 ‘안전도시 기본계획’을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안전도시 기본계획’은 재난 유형의 다양화와 복잡화 및 재난 규모의 대형화로 인한 잠재적 위험을 사전에 예측·대응하기 위한 ‘인천형 중장기 안전대책’이다.
시는 지난 5년간 재난으로 인해 발생한 △인명·재산피해 현황 △언론 보도 △전문가 및 실무자의 미래위험도 평가 등을 종합 분석해 ‘자연재난 분야(폭염, 풍수해, 대설·한파)’와 ‘사회재난 및 안전사고 분야(화재폭발, 감염병, 도로교통 재난·사고)’ 등 6대 중점 관리재난을 선정하고, 각종 재난에 따른 연간 피해 감소 목표치를 구체적으로 마련했다.
이를 통해 시는 △폭염 부장사수 감고(61명→1명) △풍수해 재산피해 감소(3억700만 원→100만 원) △대설·한파 인명피해 제로화(10명→0명) △화재·폭발 사망자수 제로화(11명→0명) △감염병 사망자수 제로화(27명→0명) △도로교통 재난·사고 사망자수 감소(93명→54명) △지역안전지수 중 생활안전지수 향상(5등급→2등급) 등을 달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폭염저감시설 설치·운영 △우수저류시설 설치, 초강풍 대비 안전대책 추진 △자동 제설장치 설치·운영 △전통시장 화재 예방 환경조성, 고층건축물 안전관리체계 구축 △제2인천의료원 설치 및 감염병전문병원 유치 △교통약자 보호구역 시설 개선, 교통안전 시설 및 문화 확대 △ICT기반 스마트 재난관리시스템 도입 △재난안전 선진도시 및 국가간 정보교류 및 협력 등을 펼칠 예정이다.
특히 지난해 5등급으로 최하위를 기록한 ‘생활안전지수’를 2등급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관계 기관간 TF 구성과 핵심지표 분석 및 관리 등을 진행, 낙상과 상해 등 생활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유형을 우선 고려한 정액을 수립하는 한편, 재난약자가 많은 지역을 중점 관리할 계획이다.
또 사고 발생률이 높은 지역에 대해서는 사고사례 분석을 통해 맞춤형 대응 전략도 수립한다.
박찬훈 시민안전본부장은 "초일류 안전도시를 만들기 위해 재난안전 취약 분야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대책을 마련, 위험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