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확정, 철강산업 및 지역경제 위기 극복 매진
철강산업의 회복력 강화 및 구조전환 촉진, 신산업화 선도 등 중점과제 추진
중앙부처 및 경북도와 유기적 협업체계 구축해 후속조치 조속한 추진에 만전
정부가 제11호 태풍 ‘힌남노’로 인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포항시를 2년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
3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심의·의결했다.
이에 포항시가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이 확정됨에 따라 태풍으로 큰 피해를 입은 국가기간산업인 철강산업의 재건과 침체된 지역경제 회복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포항은 지난 9월 발생한 태풍 ‘힌남노’로 인해 포스코가 49년 만에 처음으로 제철소 가동이 전면 중단되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또한 다른 철강산단 기업체도 피해액을 추정할 수 없을 만큼 철강산업 전반이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
포항은 제조업 중 1차 금속 비중이 84.6%에 이르는 철강산업도시로 철강경기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최근 철강산업이 세계적 경기 침체로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 태풍피해로 심각한 타격을 입어 지역경제가 큰 위기에 직면했다.
이에 시는 윤석열 대통령의 피해지역 방문 당시 건의를 통해 특별재난지역의 조속한 지정을 이끌며, 철강산업 조기 정상화 및 선제적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지난 9월 23일 경북도와 함께 산업부에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했다.
산업부에서도 피해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신속하게 대응했다.
이에 산업부는 지난 9월 27일 관계부처 회의, 28일 합동실사단 포항 현지 실사, 10월 6일 산업부-포항시 실무회의 등 정부에서도 속도를 내 31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에 따라 긴급경영안정자금 최대 지원, 대출 만기 연장, 상환 유예 등 금융 지원을 받고 지방투자촉진보조금 기본 지원비율을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과 동일 수준으로 조정하게 된다.
지정기간은 2022년 10월 31일부터 2024년 10월 30일까지 2년이다.
아울러, 철강산업 회복력 강화와 구조 전환, 신산업화 촉진을 위해 △기업 위기 극복 지원 △철강산업단지 재해 예방 인프라 구축 △단기 R&D 및 사업화 △철강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며, 국회 심의과정에서 예산 반영 후 지원내용이 확정될 예정이다.
포항시와 경북도는 이번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이 우리나라 경제발전을 이끌어온 포항 철강산업이 어려움을 이겨내고 다시금 활력을 얻어 재도약할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중앙부처와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 예산 확보에 적극 대처 등 신속·원활한 복구를 위해 전 행정력을 동원해 나갈 계획이다.
철강산단 관계자는 “기업들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음에도 재난지원금 지급을 비롯한 직접적 피해 지원이 없어 시설·장비 복구, 인건비 지원 등 실질적인 지원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통해 하루빨리 지역 철강산업을 비롯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철우 도지사는 태풍피해 직후 현장에 대용량방사포를 신속하게 투입해 아파트 지하주차장 인명구조와 포스코 침수피해 최소화에 결정적 역할을 했으며, 상주에서 열린 제9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에게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을 건의하면서 포항의 위기 극복에 앞장서 왔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김정재·김병욱 국회의원 등 지역 정치권과 함께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 추경호 경제부총리,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국회 산자위 소속 의원 등을 연이어 만나면서 조속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의 시급성과 필요성을 역설해 왔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으로 천문학적인 태풍피해를 입은 철강공단 기업체와 시민들의 부담을 덜어냄으로써 국가기간산업이 흔들리지 않고 굳건히 제자리를 찾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중앙정부, 경북도와 긴밀히 협의해 시급한 지원사업들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전방위적 대응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