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4대강, '실패한 정책'이 만든 이 눅진한 녹조 범벅을 보라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4대강, '실패한 정책'이 만든 이 눅진한 녹조 범벅을 보라

[함께 사는 길] 포토 에세이

낙동강 하류 대동선착장은 정박해 있는 배들 사이에 곤죽이 되어 있는 녹조들로 가득했다. 이곳뿐만 아니다. 낙동강 곳곳이 녹조로 가득했다. 녹조를 제거하기 위해 선박이 수시로 운행하고 수차까지 동원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칠서취수장 안은 밖보다 더 심했다. 초록색 페인트를 쏟아 부은 듯 녹조로 뒤덮인 물이 수돗물로 생산된다는 사실은 충격을 더 했다.

강물의 녹조는 농업용수란 이름으로 인근의 논과 밭으로도 흘러들어갔다. 곤죽이 된 녹조를 먹고 자란 벼와 배추, 무 등의 농작물이 안전하다고 누가 장담할 수 있을까.

녹조로 곤죽이 되어버린 강을 즐기는 이들도 있었다. 녹조 위를 달리는 수상스키와 보트, 유람선. 그 사람들은 녹조에 그대로 노출되고 있었다. 녹조에 대한 위해성을 알리지 않는 정부 탓이다. 강바닥에서 퍼 올린 펄에는 붉은 깔따구 유충과 실지렁이 등 4~5급수 지표종이 발견되었다.

지난 8월 4일부터 6일까지 2박3일간 환경운동연합과 대한하천학회 그리고 낙동강네트워크 회원 및 활동가들은 낙동강 현장 녹조 조사를 진행했다. 주요 녹조 발생 지점과 취수원 일대의 강물을 채수하고 강바닥을 채토를 하며 조사를 진행하였다. 낙동강 하굿둑부터 영주댐까지 둘러본 현장은 그야말로 참혹했다. 정부는 낙동강의 녹조를 폭염과 가뭄 탓으로 돌렸지만 이것은 자연재해가 아니다. 실패한 정책이 만든 장기진행형 인재다. 강은 병들었고 사람까지 그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그럼에도 정부는 방관만 하고 있다. 언제까지 병든 강을 두고 방치할 것인가. 

▲ 녹조로 뒤덮인 화원유원지에 관광객을 태운 유람선이 선착장으로 들아오고 있다. ⓒ함께사는길(이성수)

▲ 녹조 곤죽이 떠다니고 있는 낙동강 하구 김해 대동선착장 강 건너에 대단지 아파드들이 즐비하다. ⓒ함께사는길(이성수)

▲ 합천창년보 상류 지점에는 모래가 많은 곳임에도 불구하고 조사단원들이 채토한 모래펄 안에서 갈따구 유충이 발견되었다. ⓒ함께사는길(이성수)

▲ 상주보 산칙징 부근에서 채토한 펄에서 깔따구 유충과 실지렁이가 다수 발견되었다. ⓒ함께사는길(이성수)

▲ 대동선착장의 녹조라떼를 조사단원이 보여주고 있다. ⓒ함께사는길(이성수)

▲ 녹조로 뒤덮인 강정고령보 상류. ⓒ정수근

▲ 지난 8월 4일부터 6일까지 2박3일간 '2022 낙동간 국민 체감 녹조 현장 조사단'은 낙동강 하구부터 영주댐까지 녹조 현장 조사를 진행했다. ⓒ함께사는길(이성수)

▲ 녹조가 가득한 강물 바닥에서 펄을 채토해 오고 있는 조사단원. ⓒ함께사는길(이성수)

▲ 녹조가 칠서취수장 안으로 직 유입된 상태. ⓒ함께사는길(이성수)

▲ 경남 합천군 덕고면의 논 수로에 녹조로 오염된 낙동강물이 농업용수로 흘러들어와 있다. ⓒ함께사는길(이성수)

▲ 녹색 물감을 풀어 놓은 듯한 낙동강. ⓒ함께사는길(이성수)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함께 사는 길

월간 <함께 사는 길>은 '지구를 살리는 사람들의 잡지'라는 모토로 1993년 창간했습니다. 사회적 약자와 생태적 약자를 위한 보도, 지구적 지속가능성을 지키기 위한 보도라는 보도중점을 가진 월간 환경잡지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