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GTX 플러스'는 여야와 지역을 초월해 총력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7일 경기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이날 국회도서관 강당에서 열린 'GTX 플러스 국회토론회'에 참석해 "GTX 플러스는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지사는 "GTX 플러스에 직접 영향을 받는 인구만 해도 전체 국민의 1/4이다. 대한민국 어떤 SOC 인프라가 이처럼 많은 국민에게 직·간접적으로 생활에 영향을 미치겠는가"라고 GTX 플러스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여야가 어딨고, 당선자, 낙선자가 어디 있겠는가"라며 "지난 대선 양당의 공통 공약이었던 만큼, 여야와 지역 경계 구분 없이 정책 추진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GTX 계획 실현을 위한 예산이 반영될 수 있도록 국회에 요청했다.
고승영 서울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된 토론회에서는 '출퇴근 하루 1시간의 여유를 위한 GTX 플러스'를 주제로 각계 전문가들과 논의를 벌였다.
박경철 경기연구원(GRI) 연구위원, 유정훈 아주대 교수, 김현수 단국대 교수, 진장원 교통대 교수, 박준식 한국교통연구원 광역교통정책연구센터장, 강갑생 중앙일보 교통 전문 기자가 발제와 토론자로 참여했다.
박 연구위원은 "경기도 제안 노선들이 국가망에 반영될 수 있도록 더욱 능동적으로 나서야 한다"라며 "관련 시군과 공동 대응을 할 수 있도록 경기도가 통합관리 기능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아주대 교수는 "GTX 플러스에 필요한 법·제도적 개선을 위해 정부·국회의 도움이 필수이기 때문에, 상호 존중과 협력의 자세로 모두의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협치를 강조했다.

특히 이번 토론회는 64명의 국회의원이 공동 주최자로 참여해 ‘GTX 플러스’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에 함께했다. 경기는 물론, 인천, 강원, 서울권 의원들이 주로 참여했다.
한편, GTX 플러스는 수도권 주민들의 출퇴근 시간 단축을 위해 김동연 지사가 제안한 민선 8기 핵심 공약 중 하나로, GTX A·B·C를 연장하고 D·E·F를 신설해 GTX 노선을 도내 전역으로 확대하는 내용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