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안전 관련 공익침해 행위 유형을 정리한 웹사례집 '경기도 공익제보 핫라인: 안전분야'를 제작해 배포한다고 28일 밝혔다.
도는 공익 신고자들이 구체적인 신고 가능 행위를 알지 못해 신고를 하지 않는 점을 고려해 올해는 우선 도민의 일상과 밀접한 3개 분야(환경·안전·부패)에 대해 사례집을 제작했다.

앞서 지난 6월 환경분야 공익침해행위 사례집에 이어 두 번째로 제작한 안전 분야 사례집에는 건설 안전, 사회복지시설 안전, 화재 및 위험물로부터의 안전, 아동·청소년 안전과 관련한 내용을 담았다.
주요 신고 가능 사례는 △부실시공 및 부실 건설사업관리 △공사 갑질 △사회복지시설의 운영규정 위반 및 시설 점검 소홀 △위험물 불법 저장·취급 △소방시설 유지·관리 미흡 △어린이 놀이 안전 위협 등이다.
사례집은 경기도 공익제보 핫라인 누리집(hotline.gg.go.kr)이나 경기도 전자북(ebook.gg.go.kr)에서도 볼 수 있으며, 31개 시·군은 물론 협약기관에도 PDF(Portable Document Format) 파일로 배포된다.
한편, 공익제보를 원하는 사람은 공익제보 전담 신고 창구인 '경기도 공익제보 핫라인(hotline.gg.go.kr)'에 신고하면 된다.
공익침해행위 제보가 사실로 확인돼 행정·사법 처분 등이 이뤄지면 신고자에게 보·포상금이 지급된다.
최홍규 도 조사담당관은 “공익침해행위에 대한 도민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사례집 발간을 통해 공익제보를 내실화하고 도민의 관심도를 높여 공정한 경기도를 만들어 나가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