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한 시절은 돌아오지 않았다."
김수영의 시 '애정지둔(愛情遲鈍)'의 첫 구절은 어딘지 속 시끄럽고 불안한 시간이 시작되었음을 암시하는 것 같다. 마치 표어처럼 보이는 "생활무한(生活無限) / 고난돌기(苦難突起) / 백골의복(白骨衣服) / 삼복염천거래(三伏炎天去來)"라는 데까지 읽어 내려오면 김수영이 그리는 저 시간이 퍽 고된 시절이었음을 더욱 짐작하게 된다. 저 구절들은 어쩌면 전지구적 팬데믹을 경험하며 도달한 세계의 모습이나 대선 이후 우리 사회가 맞닥뜨린 혼란스러운 여름과도 꽤나 맞아떨어지지 않을까 싶다. 스태그플레이션을 예측하는 경제지표나 전쟁과 같이 극단으로 치닫는 세계 정세 등은 생활 내지 생계의 문제가 끝없이 이어질 것만 같은 예측을 하게 하고('생활무한'),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보여주는 여러 한심한 작태들은 고난이 수시로 찾아올 수도 있다는 예감에 빠지게 한다('고난돌기'). 고단한 생활과 고난의 예감이 불우한 삶의 그림자를 불러오고('백골의복'), 여기에 기록적인 폭염과 폭우에서 감지되는 기후위기에 대한 심각한 불안감은 이제 우리 일상의 정서 밑바닥에 자리하게 되었다('삼복염천거래').
이러한 때, 정치권은 또 익숙한 단어를 들고나왔다. 집권여당의 비대위 수립 논란을 보도한 기사 사진에는 빈 사무실에 걸린 '오직, 민생'이라는 현수막이 보인다. 저 문구가 전달하는 기시감은 연이어 들려오는 소식들에 의해 한층 커진다. 각종 규제의 완화로 기득권세력의 사익 부풀리기가 쉬워졌다는 보도가 나오고, 한 시사프로그램에서는 밀양의 사드반대 집회, 용산 남일당, 쌍용자동차 공장 등지에서 드러난 경찰의 과잉진압을 거론하며 신설된 경찰국의 기능이 무엇인지를 묻고 있다. 또 (지금은 철회 수순으로 바뀌어 다행인 일이지만) 돌봄 주체들과는 아무런 논의도 없이 경제적 효과를 앞세워 초등학교 입학 연령을 만 5세로 낮추겠다고 했던 발언과, 수해현장을 방문해 정치인들이 보여준 참담한 언행은 어떤가. 이들의 '민생 없는 민생' 이야기가 이렇듯 다시 떠돌고 있다.
'민생'은 사전상으로는 '일반 국민의 생계나 생활' 정도의 의미로, 이때 생계는 물가라는 단어와 연동하며 먹고사는 일을 주로 지칭하고는 한다. 민생물가나 민생안정이라는 표현도 이런 맥락에서 비롯되었다. 이처럼 민생은 물가와 생활의 문제들, 노동·빈곤·교육·가족·노인 문제를 자주 호출한다. 일례로 참여연대는 가계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3대 지출 요소인 주거비·교육비·의료비를 기준으로 민생 문제에 접근하기도 했다. 민생만큼 자주 언급되는 '서민'이라는 단어를 통해 민생의 맥락을 그려볼 수도 있다. 서민은 사전적으로는 보통 '아무 벼슬이나 신분적 특권을 갖지 못한 일반 사람' '경제적으로 중류 이하의 넉넉하지 못한 사람'으로 풀이된다. 그러고 보면 정치인들이 선거용 이미지를 담기 위해 찾는 곳들, 가령 재래시장, 쪽방촌, 대중교통 시설, 청소노동의 현장 등은 실로 민생과 연결된 서민들의 삶의 자리이다.
민생에 대한 조명은 불안정한 사회에서 생존의 위협을 실감하는 이들의 삶을 보살피려는 의미가 있지만, 그보다 더욱 중요한 의미는 따로 있다. 민생의 현장이 곧 우리 사회의 주요 모순이 집약된 자리라는 사실이다. 비정규직 노동자과 영세 자영업자들의 터전, 그리고 여전히 그림자노동으로 취급받는 각종 돌봄노동이 수행되는 곳 등이 바로 민생의 긴박한 현장이다. 따라서 민생을 해결하는 과정은 단순히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불평등을 심화하고 각종 차별과 사회불안을 야기하는 원인을 문제 삼아 체제를 전환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하청노동자가 참담한 산업재해로 희생되지 않게 하는 것, 영세 자영업자의 가정파탄 관련 보도를 더이상 사회면에서 보지 않게 하는 것, '억울하면 출세하라'는 말이 더는 통용되지 않는 사회를 만드는 것, 그리고 아이를 양육하고 신체적 약자를 돌보는 일의 고귀한 가치를 알아보는 것 모두 민생을 돌보는 일과 긴밀하게 연동하는 우리의 과제이다. 더불어 민생은 '빚투' '영끌' '파이어족'이라는 단어들을 빚어내는 투기와 노동혐오의 세계를 벗어나, 노동과 꿈이 분리되지 않는 세계로 나아가야 한다는 절박한 사회적 과제와도 결코 별개의 사안이 아니다.
민생을 돌보는 정치는 민(民)이 사랑하고 꿈꾸는 일을 도와야 한다. 민의 생존을 돌보는 일은 그것의 작은 부분일 뿐이다. 물론 이것을 정치권 인사들에게만 맡길 일은 아니다. '애정지둔'에서 김수영은 고난의 시기에 오히려 사랑이 굵어졌다고 말한다. 고단한 삶들이 지속되는 "첩첩이 무서운 주야"를 지나면서도 어찌되었든 사랑과 관련한 자신의 노래는 땅으로 스민다고 적었다("나의 노래는 물방울처럼/땅속으로 향하여 들어갈 것"). 이것은 현실을 외면한 어리석은 노래인가, 시인의 환상인가. 둘 다 아니다. 김수영의 저 시는 1953년, 그러니까 6.25를 경험하는 중에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 창작 시기를 염두에 두면 '백골의복'이 단순한 수사가 아니며 이 시가 말하는 고난이 상상 이상의 고통이었음을 비로소 절감하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시기에 시인이 땅에 심어둔 사랑이라니, 그것이 얼마나 격렬하고 깊은 생의 욕망인지를 감히 말하기가 조심스러워진다. 하지만 그것이 살아 있는 존재들이 현재의 속박에서 벗어나 다른 미래를 꿈꾸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과 관련한다는 사실을 추정하기란 어렵지 않다. 우리는 또 시인이 노래한 사랑이 아무리 특별할지라도, 그 사랑은 다름 아닌 이 땅의 민의 삶들을 관찰하고 배우는 과정에서 발견한 결과라는 사실도 안다. 김수영이 살았던 땅 위에 우리가 산다. 이제 그 땅에서 올라오는 사랑의 노래를 배우자. 현재의 사는 모양새에 속지 말고 우리가 진정 원하는 삶의 모습이 무엇인지를 되묻자.
*이 글은 <창작과비평> 2022년 가을호 '책머리에'의 일부입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