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최태호의 우리말 바로 알기] 한가위와 중추절과 추석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최태호의 우리말 바로 알기] 한가위와 중추절과 추석

곧 추석이 다가온다. 그래서 오늘은 한가위, 중추절, 추석 등의 뜻과 유래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필자가 가장 좋아하는 단어로는 ‘한가위’이다. 이 단어의 유래부터 알아보기로 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유리왕 9년에 공주 두 명으로 하여금 도읍의 부녀자들을 두 패로 나누어 길쌈을 하게 했다. 한 달 전부터 시작하여 8월 15일(음력)에 승패를 가르고 진 편에서 이긴 편을 대접하고 잔치를 벌였다고 한다. 이때 진 편에서 ‘회소회소’라는 노래(회소곡(會蘇曲))를 불렀다고 하는데 그 내용은 알 수가 없다. 그리고 그 놀이를 가배(加背)라고 했다. 다른 표현으로는 가우(嘉優)라고도 했다고 한다. 이 가배(嘉俳, 嘉優)라는 말이 순우리말로 ‘가운데’를 뜻하는 ‘가위’라는 말이다. ‘가배>가ㅸㅐ>가위’로 변하여 지금의 한가위가 됐다. ‘한’이라는 말은 ‘크다, 하나, 넓다’ 등의 뜻을 가진 순우리말이다. 한길(큰길, 넓은 길)이라고 할 때의 ‘한’과 같다. 우리가 어려서 흔히 한길을 ‘행길’이라고 발음했던 것을 기억하면 쉬울 것이다. 그러므로 ‘한가위’란 ‘8월의 한가운데’를 말한다. 1년 중 가장 풍요로운 달이라고 해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고 한 말이 풍성했던 시절을 대변해 준다.

이러한 추석의 풍습은 중국의 <수서(隋書)>와 <당서(唐書) >에도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유명했다. 그 책에 의하면 8월 15일이면 풍류(風流)를 베풀고 활쏘기 대회를 벌였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추석은 보름달이 뜨는데 왜 반달을 상징하는 송편을 먹을까 궁금할 것이다. 중국에서는 월병(月餠)이라고 해서 보름달을 상징하는 둥근 떡을 만들어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다. 그 안에 견과류 등을 넣어서 건강에 좋도록 배려한 흔적이 보인다. 그러나 신라 사람들은 반달을 의미하는 송편을 먹었는데, 그 유래는 다음과 같다. 우선 송편의 원어는 송병(松餠)이다. 솔잎을 깔아 찌기 때문에 송병이라고 했는데, 오늘날 송편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멥쌀가루를 반죽하여 팥, 콩, 밤, 대추, 깨 따위의 소를 넣고 반달 모양으로 빚어서 반드시 솔잎을 깔고 쪄야 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백제 의자왕 때 땅속에서 거북이 나왔는데, 그 등에 “백제는 만월(滿月)이요, 신라는 반달이라.”고 쓰여 있었다. 역술가가 풀어 보니, 만월은 가득 찬 달이기 때문에 기울게 마련이고, 반달은 앞으로 차차 커져서 만월이 될 것이기 때문에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신라의 군사들은 전쟁에 나갈 때면 반달 모양의 송편을 먹으며 승리를 기원했다고 한다. 그래서 보름달이 아닌 반달 모양의 떡을 만들어 먹게 되었다.

중추절(仲秋節)은 팔월의 명절이라는 말이다. 8월을 한자로 중추(仲秋)라고 한다. 7월은 맹추(孟秋), 9월은 계추(季秋)라고 하니 중추절이라는 말은 “음력 팔월에 있는 명절”이라는 말이다. ‘추석을 달리 이르는 말’이라고 사전에 나타나 있다. 나온 김에 한자로 1월부터 12월까지 이르는 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월 맹춘(孟春), 2월 중춘(仲春), 3월 계춘(季春), 4월 맹하(孟夏), 5월 중하(仲夏), 6월 계하(季夏), 10월 맹동(孟冬), 11월 중동(仲冬), 12월 계동(季冬)이라고 한다. 이런 표현을 알아두면 한자로 쓴 액자의 작성월을 아는데 상당히 도움이 된다. 한자로 올해 8월을 표기하면 신축(辛丑) 중추(仲秋)라고 한다.

한편 추석(秋夕)이라는 단어는 글자 그대로 가을 저녁이라는 말이다. 가을날 저녁이 다 좋지만 그 중 8월 15일 저녁이 가장 좋다는 의미로 ‘추석’이라고 했다. 사전적 의미로는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8월 보름날이다. 신라의 가배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며, 햅쌀로 송편을 빚고 햇과일 따위로 음식을 장만하여 차례를 지낸다.”고 되어 있다.(<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인용함)

한가위라는 명칭이 가장 오래 되었고, 유래도 확실하니 그대로 사용했으면 하는 소망이 있다. 굳이 중추절이니 추석이니라고 하지 않아도 정겨운 우리말이 있으니 오래 보전했으면 좋겠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