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장흥 천년고찰 보림사, 20여 가지 문화재 소장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장흥 천년고찰 보림사, 20여 가지 문화재 소장

국보 (제117호)철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1252호)목조사천왕상

보림사는 장흥군 유치면 가지산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의 말사이다.

원표가 세운 암자에 860년경 신라 헌안왕의 권유로 보조선사 체징이 창건하여 선종의 도입과 동시에 신라 구산선문 중 제일 먼저 개산한 가지산파의 중심 사찰이었다. 인도 가지산의 보림사, 중국 가지산의 보림사와 함께 3보림으로 불렸다.

▲장흥 보림사 삼층석탑·석등(국보 제44호) ⓒ장흥군

보림사는 다양한 국보 및 보물, 시도유형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비록 1950년 가을 화재로 인해 많은 부분이 소실되었지만 국보 제117호로 지정된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보물 제1252호로 지정된 목조사천왕상 등 보림사에는 유서 깊은 볼거리들이 가득하다.

보림사 뒤쪽으로는 울창한 비자나무 숲이 있다. 300년이 넘은 비자나무 500여 그루가 군락을 이루고 있고 참나무와 단풍나무, 소나무도 많이 서식해 있다. 이 숲은 1982년 산림유전자원보호림으로 지정됐다. 또한 2009년 산림청과 (사)생명의숲, 유한킴벌리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10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천년의 숲’ 장려상을 받았다.

비자나무 숲 사이로 시냇물처럼 산책로가 나 있다. 숲 곳곳에는 의자와 삼림욕대도 마련돼 있다. 산책로는 경사가 급하지 않아 누구나 걷기 쉽고 천천히 걸어도 20분이면 충분하다. 기분 좋은 산책을 즐기기에 딱 좋은 길이다.

그 옛날 방랑시인 김삿갓이 건강이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보림사를 보기 위해 길을 떠났다고 하니 경내를 천천히 구경하고 숲길을 산책하면서 주변에 있는 김삿갓의 마지막 시문을 읽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여기서 보림사에 관해서 조금 더 깊이 조명해 본다.

보림사는 통일신라시대 9산 선문의 종가집이며 우리 지역의 살아 있는 증거이자 선현의 진한 삶이 배어 있는 결정체이다. 그리하여 창건 설화를 소개하는 옛 문헌을 정리하였다.

장흥 고전 문헌 기록으로 조선 초기 '보림사 사적'을 소개한다. 사찰 사적기로서는 이른 시기의 기록이다. 이미 내용은 알려져 있지만 필사본 원본 2종(미국 하버드대학교 연경도서관본, 용흥사 소장본)과 1967년 소개된 자료 '고고미술' 원문과 번역문을 함께 소개한다.

보림사 사적기는 미국 하버드대학교 연경[엔칭] 도서관에 소장(OCT 26 1954.10.26./TK 1911 1345)되어 있던 것을 이기백 교수가 1967년에 입수해서 국내 '고고미술(현 미술사학 연구)' 제8권 제4호(통권81호, 한국미술사학회, 294~296쪽)에 실어 알려진 자료이다.

이 책은 필사본 총9매 18면이며 각 면 8행 매 행 16자 내외이고 해서체다.

책명은 “新羅國武州迦智山寶林寺事蹟(신라국무주가지산보림사사적)”, 표제는 “寶林寺事蹟(보림사 사적기)”이다. 끝에 “천순연중기(天順年中記)”라 필사한 연기를 적었다.

천순은 조선시대 초기에 사용하던 중국 명나라 연호로 서기 1457~1464년 사이이다. 지은이는 밝히지 않았다.

활자본으로 정서하여 실으면서 필사본 첫 면을 함께 실었다.

한편 담양 용흥사에 필사본이 전하는데 장정은 선장(線裝)이고 장수는 10장(張)이다. 크기는 21.6㎝×20.4㎝이다. 연경도서관 소장본과 내용이 동일하다. 용흥사본은 원래 해남 대흥사에 있었던 것으로 전한다.

전반부는 보림사 창건 후반부는 보조선사 창성비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있다. 연기 설화에는 원표대덕, 선아, 아홉 용, 연못 등이 등장하고 있어 흥미롭다.

그리고 설화 끝에 동서법당, 천자각, 불자각, 용자각, 운자각, 좌우 요사, 행랑, 곁채, 누각, 문집 등의 가람배치가 나와 있으며 건물들은 하나같이 서역(西域)과 중국의 모습을 하고 있다.

후반부는 가지산파의 개산인인 보조선사 체징에 대한 기록으로 그의 비문 내용을 요약하고 있다.

보림사 사적기는 조선 초기(15세기 중엽)에 작성된 것으로 현재 우리나라에 전해 오는 사적기 대부분이 조선 후기의 것임을 감안할 때 사학적으로도 의미가 클 것으로 여겨진다.

원본 2종과 '고고미술' 게재본, 활자 원문, 번역문을 소개한다.

번역문은 송광사 광원암 남은현봉(南隱玄鋒) 스님(현 조계총림 송광사 방장)이 번역하였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위정성

프레시안 광주전남취재본부 위정성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