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각 비서관실로 공보담당관을 정해 대(對)언론접촉 창구를 일원화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국정현안에 대한 책임감 있고 완결성 있는 취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이 따라 붙었지만 사실상 새로운 형태의 '언론통제' 시도라는 논란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수석·비서관들 언론접촉 금지령이 책임감있는 취재 서비스?
청와대 김은혜 대변인은 이날 "앞으로 각 비서관실 공보담당관이 공식 창구로서 공식적인 답변과 취재편의를 제공할 것"이라며 "이는 신속하고 충실한 공보시스템을 위해 만든 제도"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7수석실 산하 각 비서관실 31명, 2기획관실 2명 등 모두 33명의 공보담당관이 임명될 예정이다. 공보담당관의 직급은 선임 행정관급 이하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출입 기자단과의 협의를 거쳐 이르면 이달 중 이 제도를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청와대의 이같은 움직임은 최근 이동관 홍보수석이 '핵심 관계자' 등을 동원한 취재원의 비실명 보도를 자제해 달라고 공식 요청한 직후부터 가시화됐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논란을 빚고 있는 세종시 수정 논란을 비롯한 각종 정책현안, 특히 이 대통령의 사돈기업인 효성그룹 수사 등 민감한 사안과 관련한 '청와대 핵심 관계자들'의 발언이 보도되면서 파문이 일자 '입 단속'에 나선 셈이다.
그러나 이같은 조치는 청와대에 대한 원활한 취재를 상당 부분 제약할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논란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불러 주는 대로만 보도하라"는 식의 편협한 언론관을 또 다시 드러냈다는 지적도 나온다.
청와대 수석이나 비서관들에 대한 기자들의 접근도 사실상 어려워질 전망이다. 실제 지난 주 부터 대다수의 청와대 관계자들은 기자들과의 접촉을 꺼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수석이나 비서관들은 민감한 정책현안에 대해 언급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다. 기자들과의 전화통화나 대면접촉도 금기사항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김은혜 대변인은 "공보담당관제에 대한 아이디어는 꽤 오래 전부터 나왔었고, 내부적으로는 올해 초부터 추진해 왔다"며 "사전 취재를 제한한다든가, 기자들과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게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