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2009년은 아주 뜻깊은 해이다. 갈릴레이가 망원경을 만들어서 천체를 관측하기 시작한 지 400주년, 허블의 우주 팽창 발견 80주년, 인류의 달 착륙 40주년, 외계 지성체 탐사프로젝트 제안 50주년 및 메시지 송신 35주년을 맞은 해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2009 세계 천문의 해'를 맞아 한국조직위원회를 만들어서 국제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다. 이미 4월 2일부터 5일까지 전 세계 천문대에서는 100시간 동안 연속으로 별을 관측하고 길거리에서 천문학자·아마추어천문가가 일반인과 함께 별을 관측하는 전 지구적인 행사가 열렸다.
또 우리나라에서는 특별히 이동 천문대 '스타-카'가 소외 지역 아이들을 찾아가고, '과학과 예술의 만남'과 같은 전시회도 준비 중이다. 이런 내용은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와 웹진 <이야진(IYAZINE)>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바로 가기)
<프레시안>은 이런 '2009 세계 천문의 해'를 맞아 '문화, 우주를 만나다' 연재를 <이야진>과 공동으로 연재한다. 하늘의 별을 바라보면서 꿈을 키웠던 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별, 우주, 문화, 예술 등을 화두로 매주 한 편씩 에세이를 선보인다. <편집자>
▲ 황소자리의 알파(α)별 알데바란과 히아데스성단이다. 황소자리는 황도 12궁에 속하며, 동쪽에 있는 오리온자리를 향해 뿔을 내미는 황소의 모습처럼 보인다. 알데바란은 황소의 머리 부분에 위치하고 있어서 '황소의 눈'이라고 불린다. 우리가 볼 때 히아데스성단에 포함된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알데바란과 성단이 우연히 같은 방향에 있어 그렇게 보이는 것이다. 알데바란은 겉보기등급이 약 0.85로 밤하늘에서 열세 번째로 밝은 별이다. 히아데스성단(Melotte 25)도 플레이아데스성단처럼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거인 아틀라스와 아이트라 사이에서 태어난 딸들을 의미한다. 태양으로부터 약 150광년 떨어져 있어,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산개성단이다. 황소의 얼굴 부분의 'V' 자 형태에 약 100~400개의 별들이 모여있다. ⓒ한국천문연구원(사진=이상헌) |
별은 가지 못할 곳이다. 그 거리는 상상하기조차 어렵다. 별빛은 눈에 닿아 존재라도 알리지만 태울 것도 없는 몸뚱이는 별에 신호를 보낼 도리가 없다. 늘 고개를 들어 별을 보지만 그 마음은 짝사랑일 수밖에 없다. 그래서 더 간절하다. 더 궁금하다. 가보고 싶다. 우리가 공간을 가로질러, 시간을 넘어 별에 갈 수 있다면 도대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알지 못하는 곳에 대한 지식은 그 윤곽이 어렴풋할 수밖에 없다. 바탕이 어설프니 그 윤곽을 바탕으로 쌓아올린 상상은 엉뚱하기 마련이다.
지금은 전 세계가 거미줄 같은 항공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지구촌시대가 되었지만 100여 년만 거슬러 올라가도 바다는 넘기 쉽지 않은 장벽이었다. 그보다 더 전에는 말 할 것도 없다. 무게 180톤, 길이 27.5미터의 메이플라워호가 뉴잉글랜드 최초의 이민인 청교도 102명을 싣고 영국의 플리머스 항구에서 출발한 것은 1620년 9월 16일. 대서양을 건너 매사추세스주 연안에 도착한 것은 12월 21일이었다. 지금은 비행기로 몇 시간이면 닿을 거리를 세 달이 넘도록 험난한 대서양을 헤매고야 도착한 것이다. 1902년 12월 22일, 102명의 한인 노동자들이 탔던 갤릭호는 이듬해 1월 13일에 하와이에 도착했다. 한국인의 첫 번째 하와이 이민이 시작된 것이다. 300년에 가까운 시간이 흘러 시간이 많이 단축된 셈이지만 여전히 바다를 넘는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바다 건너기는 야망이 크거나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나 해보는 것이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바다 너머 이야기는 상상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오랫동안 바다를 넘어 가는 일은 목숨을 걸어야 하는 일이었고 선택된 몇몇에게만 허용된 일이었다. 바다를 넘어갔다 생환해 돌아온 사람들의 이야기는 거칠었고, 어쩌면 그래서 더 상상력을 자극했을지도 모르겠다. 서양에서 아시아 땅을 밟고 돌아온 사람 중에서 유명한 사람은 마르코 폴로. 그의 <동방견문록>은 서양 사람들이 아시아를 상상하는 기본 자료가 되었다. 하지만, 그의 이야기는 아직도 그가 진짜로 아시아를 여행했을까를 의심하는 사람이 있을 만큼 과장으로 가득 차 있다.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금이 나는" 일본이나 1만2000개의 돌다리가 있는 중국 도시에 대한 묘사는 실제와 큰 거리가 있었다는 것이 자명하다. 한번도 유럽을 벗어나 본 적이 없는 작가들의 여행기는 한술 더 떴다. 두루미와 싸우는 난장이, 개대가리를 가진 사람, 개만한 식인 개미. 동쪽 끝에 있다는 지상낙원에는 하느님의 특별한 은총을 입지 않는 한 도달할 수 없다고 했다.
찰스 다윈이 진화론과 관련된 생각들을 완성해 가는데 영국 군함 비글호를 타고 갈라파고스를 비롯한 세계 여러 지역을 여행하면서 보고 들은 것이 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군함은 측량을 하고 다윈과 같은 박물학자들은 세계에 대한 지식을 모았다. 중요한 것은 군함이 비글호 하나가 아니었고 영국의 재능 있는 박물학자들 중 많은 숫자가 이 군함들을 타고 세계를 배에 담아 왔다는 사실. 그렇게 모은 사실들과 식민지에 폭력적인, 혹은 성공적인 정착이 이루어지면서 바다 너머는 서서히 상상의 세계에서 실제의 세계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이제 상상의 나래는 다른 곳을 향한다.
화살표가 향한 곳은 달이다. 갈릴레오 갈릴레이 이후에 망원경으로 달을 제법 자세히 관찰할 수 있었지만 그곳은 갈 수 없는 것이었다. 별자리에 흩어져 있는 수많은 신화와 설화들은 차치하고라도 월궁 항아 이야기나 달토끼 이야기는 망원경으로 본 사실들만으로도 없어졌을 만 한데도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다. 19세기 영국의 천문학자 존 허셀이 달을 관찰한 사실을 미국 신문이 보도하면서 실어놓은 그림을 보고 약간 놀랐던 적이 있다. 허셀이 그런 보고를 했을 리 없는데 그 그림에는 상상 속의 악마처럼 생긴 존재들이 달 위를 날아다니고 있었다. 가지 못한 곳에 대한 대중들의 상상에는 경계가 없다.
아직도 속으로는 여전히 달토끼를 믿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정확히 40년 전 7월 21일, 아폴로 11호를 타고 간 우주인들이 달에 내린 이후엔 대체로 그런 종류의 상상을 하는 사람들은 없어졌다. 물론, 최근에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이 조작이라는 음모설이 유행한 적이 있다. 달에서 찍은 사진에 별이 보이지 않는다, 대기가 없는 달에서 성조기가 흔들린다, 그림자의 길이가 이상하다, 착륙선 엔진의 분사 화염이 보이지 않는다, 우주인들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럽다와 같은 옥의 티를 집요하게 찾으려는 사람들이 있었다. 미국항공우주국이 적극적으로 해명을 했고 우주 개발에 대한 비밀문서들이 풀리면서 음모론은 어느 정도 잠잠해 지는 듯하다. 달에 사람이 간 것이 사실이라고 해도 문제는 그 이후에 별 진전에 없다는 데 있다. 조금 무리를 해서 사람을 달에 보냈지만 냉전시대가 지나가면서 미국과 소련 사이의 경쟁이 시들해지자 눈에 잡히는 실익이 없는 유인 우주선 계획들도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다.
어찌되었든, 달에 발을 디뎠으니 이젠 다른 행성, 그리고 그것을 넘어 별이 남았다. 그곳에 갈 수 있어야 사람들의 호기심도 풀리고 엉뚱한 상상도 꼬리를 감출 터인데, 너무 멀다. 빛의 속도로도 여러 해 쉬지 않고 달려야 닿을 수 있는 곳에 별이 있으니 빛의 속도로 몇 분 안에 닿을 수 있는 달에 가는 것과는 규모나 범위가 다른 문제이다. 수천만, 수억 년 전에 출발한 별빛이 이곳에 닿는 것을 보면 빛이 분명히 갈 수 있는 곳이긴 하지만 우리 몸뚱이가 거기에 닿을 수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SF소설이나 영화를 통해서는 수천 번도 더 별을 오갔건만, 물리학적 혹은 생물학적으로 그곳에 갈 수 있는지도 분명하지 않다. 더구나 우리가 처해 있는 상황을 생각하면 우주 너머가 바다 너머처럼 실제로 전환되는 일은 요원해 보인다.
지난달 8월 25일에 발사했던 나로호는 지구 궤도 위에 인공위성을 올리는 것조차도 실패했다. 물론, 현재 운영 중인 인공위성이 근 900개에 이르는 것을 생각하면 지구 근처는 와글와글 성황이다. 공동 운영을 포함하면 인공위성 운영에 참가하는 나라는 110개국이 넘는다. 위성발사회사들이 여럿 활동 중이고, 영국의 버진 그룹은 올해 안에 관광용 준궤도우주선을 완성하고, 2011년 승객 탑승을 목표로 시험비행에 들어간다고 한다. 높이 2000킬로미터이하의 저궤도에 50%, 그리고 3만6000킬로미터 상공에 40%의 인공위성이 돌고 있는 것을 생각하면 오히려 어지러울 지경이다. 하지만, 이들은 지구의 부속물일 뿐이다. 우주를 향한 패기는 찾기 어렵다. 우리는 지구에 묶여 아등바등 해야만 하는 운명인가? 별은 너머에 두어야만 하는 것일까?
별에 가려고 애를 쓴 사람들 중에 대표적인 사람을 하나 꼽으라면 물리학자 프리먼 다이슨을 꼽을 수 있다. 입자물리학과 고체물리학 두 분야에서 모두 독보적인 업적을 남긴 그는 천체물리학까지 손을 뻗친다. 프리먼 다이슨은 우주에 인간의 이주지를 건설하고 몸소 별에 가고자 했다. 그리고 그것을 위해 깊고 장대한 궁리를 해 왔다. 앞에서 나는 우리가 현재 가진 기술적 수준을 폄하했지만 프리먼 다이슨의 생각은 다르다. 그는 시간만 충분하다면 기술 사회가 할 수 있는 것에 한계는 별로 없다고 믿고 있다. 광속의 100분의 1의 속도로 이동한다고 했을 때 은하 하나를 완전히 식민화하는 데 1000만 년이 걸린다. 그 정도 속도는 지금의 핵추진 기술로도 도달할 수 있다. 물론, 인간의 수명은 그에 비하면 형편없이 짧다. 그렇다고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다. 물리학이 발전하면 광속의 절반 정도를 얻을 수 있다. 그 때가 되면 은하 사이의 거리는 장벽이 되지 않는다. 그가 생각하기에 가능성의 한계에 도전하는 사회는 한 은하의 모든 곳에 도달해서 그 자원을 이용할 수 있고 은하 전체에 퍼져서 살 수도 있다. 프리먼 다이슨은 지구 규모의 행성을 분해해서 거주가 가능한 풍선으로 만들어 태양 궤도를 돌게 하는데 필요한 기계까지 설계했다.
프리먼 다이슨이 별을 보면서 이주할 꿈을 꾸고 있을 때, 그의 아들 조지 다이슨은 캐나다와 알래스카의 태평양 연안에서 밴쿠버와 글래시어 만으로 뻗어 있는 다도해에서 나무 위에 집을 짓고 생활을 하고 있었다. 아버지가 인류의 미래를 별에서 찾았지만 아들의 생각은 달랐다. 그는 인류의 미래를 보장해 주는 것은 최신의 물리학 이론이 아니라 오래된 지혜에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알류트 원주민의 지식을 복원해서 실제 생활에 적용을 해 보려고 애썼다. 별을 이불 삼아 덮고 자지만 그 별에 가려고 하지는 않는다. 별에 가려는 아버지와 별을 바라만 보는 아들. 여기에 별을 바라보는 두개의 입장이 있다.
나는 내가 살아서 인간이 별로 향하는 것을 보리라고 믿지 않는다. 물론, 물리학의 발전이 어느 순간에 우주선의 속도를 광속의 절반까지 끌어올려 은하 사이를 지금 비행기를 타고 대륙을 넘나들 듯이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전혀 없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하지만, 내가 알고 있는 얄팍한 지식으로는 이리저리 돌려 맞추어 보아도 가까운 시일 안에 획기적인 전기가 만들어지고 우주 식민지 건설의 단초가 생겨날 것 같지는 않다. 그렇다고 오래된 지혜에만 매달려서는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숫자의 인간들이 편안하게 생존할 수 있을 것 같지도 않다. 곰곰이 생각해 보면, 다이슨 부자가 추구하는 방향이 달라 보이지만 사실은 동전의 양면이고 우리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두개의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인류는 별에 가려는 노력과 별에 실은 꿈 사이에서 생존의 길을 찾아왔다. 아마도 그래서 별이 멀리 있는 것이리라.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