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무노조 경영'의 베일이 벗겨졌다. 수많은 계열사가 있지만, 다른 기업과 달리 정작 제대로 된 노동조합 하나 없는 이유가 그룹 차원의 조직적인 관리와 대응에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
12일 발간된 <시사저널> (830·831호 추석합병호)은 삼성 구조조정본부 산하에 설치된 '지역대책위원회'(지대위)의 실체를 폭로하며 이같이 보도했다.
이 보도는 삼성 무노조 경영의 실체를 드러낸 첫 보도로 향후 노동계와 정치권에서 큰 논란을 야기할 것으로 보인다.
***"지대위, 삼성 노무 관리의 핵"**
<시사저널>은 "극비조직 '지대위' 노조 설립 원천 봉쇄"란 제하의 기사에서 "삼성 그룹의 '무노조 경영' 막후에 '지역대책위원회'라는 비밀 조직이 존재했다"며 "지대위는 구조조정본부 인사팀 산하에 있는 삼성 노무관리의 핵"이라고 보도했다.
이 보도에 등장하는 삼성의 한 관계자는 "삼성 노무관리의 핵심은 구조본 인사팀에 있는 지대위다. 삼성 사업장이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 5~8개 지대위가 있다"며 "핵심은 삼성전자·삼성SDI·삼성SDS의 사업장이 있는 수원 지대위"라고 증언했다.
<시사저널>에 따르면, 지대위는 상시체제로 가동되며 지역마다 별도 사무실을 갖추고 있다. 지대위 직원은 회사 소속이지만 회사에는 출근하지 않으면서 외곽에서 노조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일을 주된 임무로 한다.
특히 지대위 직원들은 경찰·시청·노동상담소 등 유관기관들과 관계 맺는 일도 주된 임무 중의 하나라고 <시사저널>은 보도했다.
***"삼성 노무관리의 일관성…선수치기->회유->협박->해고"**
삼성의 노무관리가 개별 계열사 별이 아닌 삼성 그룹 차원에서 '지대위'를 매개로 일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시사저널>의 보도는 그 동안 삼성의 노무관리에서 일관성이 두드러졌다는 점에서도 방증되고 있다.
실제로 삼성에 노조를 설립하려다 좌절된 사례를 살펴보면, 대부분 사측의 '선수치기'와 노조 설립을 시도한 노동자의 해외파견 유도 등 '회유와 설득'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선수치기'란 삼성 노동자가 노조를 설립하려는 움직임이 파악되면 사측이 한 발 앞서 노동부에 노조설립 신고필증을 내는 방식으로 노조 설립 움직임을 무력화 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전략은 현행 노동법의 '복수 노조' 금지조항을 악용한 것으로 평가돼 왔다.
삼성 계열사 중 삼성화재, 삼성중공업, 호텔신라, 에스원 등이 '선수치기'를 통해 노조 설립이 막힌 사업장들로 이들 사업장에는 노조원 3~5명 또는 수십 명으로 구성된 노조, 즉 '유령노조'가 존재한다.
'선수치기' 전략과 동시에 노조를 만든 (혹은 만들려는) 노동자를 집요하게 회유와 설득, 위협하는 전략이 구사된다.
<시사저널>에 등장하는 삼성 해고노동자 김갑수씨는 "격리, 회유와 협박, 해외파견 또는 해고 순으로 탄압이 진행된다"고 증언했다. 김씨에 따르면, 노조 설립 움직임을 파악하면 삼성 관리자 3~4명이 따라 붙으며 동료들로부터 격리시키고, 수년간 해외 출장을 유도한다는 것.
김씨는 "2000년 2월 한 달 간 일본으로 출장 아닌 출장을 다녀 왔다. 파견 안 나가면 해고될 것이라는 상급자의 말을 거부하기 힘들었다"고 고백했다.
이와 같이 일관성을 갖는 삼성그룹의 노무관리 혹은 노조파괴 전략은 <시사저널>이 폭로한 '지대위'의 존재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한편 삼성그룹측은 '지대위' 존재 사실을 부인했다고 <시사저널>은 덧붙였다.
전체댓글 0